Skip to content
(주)에이알케이(주)에이알케이
  • 원심탈수기
  • 스크류프레스
    (다중원판형)
  • 벨트프레스
  • 폴리머 용해장치
  • 폴리머
  • 정량 펌프
  • ARK환경매거진
  • 회사소개
    • R&D센터
    • 견적보관함
    • 결제
    • 계정
    • 기술지원 서비스
    • 기술문서 자료실
    • 운영정비 서비스
    • 산업보건 및 안전
    • 환경솔루션 컨설팅
    • A/S
    • 예비부품 교체
    • 워런티정책
    • 유지보수 서비스
    • 제품문의
    • 환경설비
    • 품질정책
    • 제품컨설팅
    • 환경정책
    • 회사소개
  • [gtranslate]
  • Menu
  • Menu

베트남 물산업 시장동향 코트라 인사이트 2024.09

공지사항, 베트남 물시장
Posted on 2024-09-23 by arkorea21
베트남 물산업 시장동향
베트남 물산업 시장동향

※ 당자료는 KOTRA 하노이무역관 지혜님이 올려주신 자료로 상업적 목적이 아닌 베트남 현지 공장을 운영하는 기업으로써 관련 업계에 도움을 드리고자 공유합니다.
※ 작성자: Hong Phuong La

자료: Decision No. 1622/QD-TTg, MPDI, MONRE, FiinGroup, VARS,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출처 : https://me2.do/58NT3PhH


수자원이 풍부하다고 인식되지만, 실제로 가용한 수자원은 부족

상하수도·수처리 분야 등 물분야 관련 인프라 부족 등 다양한 과제

정부 프로젝트, 인센티브 대상이나 투자진출 시 유의할 필요

베트남 수자원 현황

베트남은 연평균 강우량과 하천 유량이 많아 수자원이 풍부한 국가로 인식되지만, 실제 사용가능한 물의 양은 부족한 상황이다. 베트남 천연자원환경부에 따르면, 베트남의 총 잠재 지하수 자원은 연간 약 910억㎥이지만 이 중 이용가능한 담수 매장량은 연간 약 220억㎥에 불과하다.

이에 더해 베트남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염수침투 등의 문제도 안고 있어, 올해 4월에는 가뭄과 염류화로 인한 담수 부족으로 정부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기까지 했다.

베트남 천연자원환경부는 2030년까지 베트남의 물 수요량이 가정용 및 공업용 소비를 합쳐 연간 약 1224억7000만㎥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베트남의 물 수요량>

지역2022년2030년까지2050년까지
(십억 ㎥/년)(십억 ㎥/년)(십억 ㎥/년)
연간건기우기연간건기우기연간건기우기
베트남117.8177.9339.88122.4780.5041.97131.7286.1845.54
[자료: Decision No. 1622/QD-TTg]

가정용 생활용수 및 산업용 공업용수 수요 현황

베트남의 가정용 생활용수는 인구 증가, 도시화에 따른 상수도 보급률 확대에 따라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중이다. 금융 정보 제공업체 핀그룹(Finn Group)이 2024년 2월 발표한 ‘베트남의 물 공급: 물 수요에 따른 높은 성장 잠재력’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의 상수도 보급률은 2021년 53.2%에서 2025년 67.3%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베트남은 대규모 FDI의 유입에 따른 산업단지 개발로 인해 공업용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 부동산중개인협회(VARS, Vietnam Association of REALTORS)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베트남에는 총 21만 7000ha에 달하는 414개의 산업단지가 조성돼 있고 전체 산업단지의 평균 입주율은 70% 이상이다. 특히 북부 및 남부 지역의 1등급(Tier-1) 산업단지의 입주율은 각각 81%와 92%에 달한다. 산업단지 입주율이 상승하면서 산업용수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 상하수도 및 수처리 산업 현황

베트남 상하수도 협회(VWSA, Vietnam Water Supply and Sewage Association)의 관계자 A씨는 KOTRA 하노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베트남에는 현재 하루 200만㎥ 이상의 폐수처리 용량을 갖춘 약 80개의 폐수처리 프로젝트가 시행되고 있지만 폐수 수거율은 60%, 처리율은 17%에 불과”하다며 베트남의 배수 인프라와 가정용·산업용 폐수처리, 깨끗한 물 확보 등 관련 산업에 2030년까지 최소 90억 달러의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실제로 하노이나 호치민 등 주요 도시는 매년 홍수 등 배수 문제를 겪고 있어 인프라 개선이 시급한 상태로, 상하수도 및 수처리 산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경쟁동향

현재 베트남의 주요 수처리 및 상하수도 기업은 대부분 공적개발원조(ODA) 자금이나 공공 투자 프로젝트를 통한 국가 예산으로 건설된 후 국영기업이 관리하고 있다. 복잡한 행정절차, 낮은 수익률, 현지 기업과의 네트워크 부족으로 외국계 기업은 소수에 불과하다.

<베트남 주요 수처리 공급 기업>

연번기업명처리 용량(㎥/일)처리 유형처리시설 주요 소재지웹사이트
1Hanoi Sewerage and Drainage Company280.5가정폐수하노이thoatnuochanoi.vn
2Phu Dien Construction Investment and Trading Joint Stock Company388.0가정폐수하노이, 호찌민시, 박닌 등phudiengroup.vn
3VSIP53.0산업 폐수VSIP 박닌 산업단지www.vsip.com.vn
4Becamex IDC66.0산업 폐수빈즈엉 소재 산업단지becamex.com.vn
5Sonadezi Service Joint Stock Company54.5가정폐수 및 산업 폐수동나이, 바리어-붕따우 소재 산업단지news.sonadezi-sdv.com.vn
[자료: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베트남 주요 상하수도 공급 기업>

연번기업명공급 용량(㎥/일)주요 운영 현황웹사이트
1SAWACO(Saigon Water Corporation)2,400,000호찌민시 내 8개 정수장 운영https://sawaco.com.vn/
2HAWACO(Hanoi Water Limited Company)600,000하노이 내 도심 7곳, 외곽 3곳 포함 12개 정수장 운영http://portal.hawacom.vn/
3DNP Water(Dong Nai Plastic JSC)1,000,000베트남 11개 주에 11개 정수장 운영https://dnpcorp.vn/nganh-nuoc/
4BIWASE(Binh Duong Water-Environment Corporation JSC)760,000빈즈엉, 빈푹, 깐토, 롱안, 꽝빈 주에 9개 정수장 운영https://biwase.com.vn/
5Song Duong River Company300,000하노이 외곽 및 박닌, 흥옌 지역http://sdwtp.vn/
[자료: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관련 정책 및 기관

베트남은 산업·가정폐수에 관한 국가 기술 규정(QCVN40:2011/BTNMT, QCVN 14:2008/BTNMT)을 두고 있으므로 관련 기업은 해당 규정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업단지 내 수처리 투자와 관련해서는 2020년에 개정된 환경보호법(Law No. 72/2020/QH14) 및 시행령(Decree No. 08/2022/ND-CP)을 참고할 수 있다.

현재 베트남 천연자원환경부는 배수, 폐수 및 폐기물 처리 부문에서 민관합작투자사업(PPP, Public Private Partnership) 모델에 따른 투자 활동에 대한 시행규칙 초안을 개발하고 있으며, 천연자원환경부 장관은 해당 시행규칙을 2024년 말까지 개발, 발표한다고 밝혔다.

한편 베트남의 수자원 관리 및 규제 관여 부처와 기관은 다음과 같다.

<베트남의 주요 수자원 관리 및 규제 담당기관>

연번기관명담당 역할웹사이트
1천연자원환경부(MONRE,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수자원을 포함한 천연자원과 환경의 전반적인 관리 담당지속 가능한 수자원 관리 및 환경보호를 위한 정책, 전략 및 계획을 수립https://www.monre.gov.vn/
2농업농촌개발부(MARD, 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농업, 관개, 농촌 개발 분야의 수자원 관리를 감독관개 시스템을 개발 및 관리하고 농업 활동을 위한 물 공급을 확보하는 데 관여https://www.mard.gov.vn/
3건설부(MOC, Ministry of Construction)도시 상수도 및 폐수처리를 담당도시지역의 상수도 시스템과 위생 인프라에 대한 정책, 표준 및 규정을 수립https://moc.gov.vn/
4산업무역부(MOIT, Ministry of Industry and Trade)공업용 수자원 관리 및 수력발전 프로젝트의 개발 및 규제에 관여수력발전 및 배전을 포함한 전력 시장 감독https://moit.gov.vn/
5베트남 상하수도협회(VWSA, Vietnam Water Supply and Sewerage Association)상하수도 부문 개발 지원물 관리 모범사례에 관한 기술 및 교육 지원https://vwsa.org.vn/
6베트남 메콩 위원회(VNMC, Vietnam National Mekong Committee)메콩강위원회(MRC, Mekhong River Commission)와 협력하여 메콩강 유역의 수자원 관리주변 국가와 협력하여 유역 수자원의 지속 가능한 사용과 개발을 보장https://vnmc.gov.vn/
7국립수자원계획조사센터(NAWAPI, National Center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Investigation)수자원과 관련된 연구, 계획 및 조사를 수행수자원 관리 및 정책 수립을 위한 정보를 제공https://nawapi.gov.vn/
8베트남 수자원과학연구소(VAWR, Vietnamese Academy for Water Resources)수자원 관리, 관개, 수력발전을 위한 연구 수행 및 과학·기술 지원https://www.vawr.org.vn/
9베트남 환경협회(AWATEN, Vietnam Association for Safe Water and Environmental)베트남의 안전한 물 및 깨끗한 환경을 보장http://awaten.org.vn/
10호찌민 물환경협회(HAWE, Ho Chi Minh City Water and Environment Association)호찌민시 내 물 및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둠https://www.hawe.com.vn/
[자료: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시사점 및 진출전략

베트남은 상하수도, 수처리 등 도시와 산업 인프라 확충뿐만 아니라, 기후변화로 인한 다양한 수자원 문제 해결 등 물산업 분야에서 여러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는 관련 기술과 노하우를 보유한 우리 기업들에게는 투자와 진출의 기회로도 작용할 수 있다. 다만 베트남 정부가 민간 및 해외 자본 유치에 적극적이긴 하지만, 복잡한 행정절차와 까다로운 규제를 고려해 진출 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KOTRA 하노이 무역관은 한국수자원공사(K-Water)와 9월 22일부터 9월 25일까지 ‘2024 동남아 물산업 무역사절단’을 진행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관련 우리 기업들의 진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작성자: Hong Phuong La

자료: Decision No. 1622/QD-TTg, MPDI, MONRE, FiinGroup, VARS,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베트남은 현재 폭발적인 인구증가로 인해 지난해 공식적으로 1억이 넘는 국가로 등재되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인 동남아 시장은 ODA로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풍부한 도시개발경험이 수처리 EPC능력과 AI-딥러닝 등의 고도화 된 데이터기반 예측 시스템까지 도입하려는 상황입니다.

동남아시장에서의 프랑스 SUEZ와 일본의 기업들의 활약과 더불어 이들과 견주어도 실력적으로 밀리지 않는 대한민국 기업들의 활약을 기대합니다. 당사 ARK는 베트남에 원심탈수기 개발공장을 둔 기업으로 국내 기업분들의 정수장 활약을 기대합니다.


사이공타임즈의 일본-베트남 ODA 정수장 프로젝트

베트남, 태국만큼의 도시화로 향하는 개발도상국으로 한국과 일본, 유럽국가들의 물산업 각축전?

베트남 물산업

https://english.thesaigontimes.vn/vietnams-largest-wastewater-treatment-plant-inaugurated-in-hcmc

사진 : 베트남과 일본 대표단이 빈흥 폐수 처리 시설 2단계 개장을 위해 버튼을 누르고 있다 – 사진: HCMCPV.ORG.VN

호치민시 – 베트남 최대 규모 폐수 처리 시설인 빈흥 폐수 처리장이 오늘 아침 8월 30일 호치민시에서 준공되었으며, 일일 처리 용량은 469,000m3입니다.

베트남 최대 규모의 폐수 처리 시설, 호치민시에 준공

이 시설은 일본의 공식 개발 원조(ODA) 대출과 베트남의 상호 자본으로 자금이 조달된 호치민시 수질 환경 복원 프로젝트 2단계(11조 3,000억 VND)에 속합니다.

호치민시 교통공사건설투자프로젝트관리국(TCIP)의 루옹 민 푹 국장은 2단계 공장은 하루 469,000입방미터의 폐수를 처리하는데, 이는 1단계보다 328,000입방미터 더 많은 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시설은 4, 5, 6, 8, 10, 11구와 빈찬구에 있는 2,500헥타르가 넘는 땅에서 나오는 폐수를 처리하여 타우후-벤응에-도이테 운하 유역의 환경 오염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약 180만 명의 주민에게 혜택을 줄 것입니다.

호치민시에는 탐르엉-벤캇(1일 처리량 131,000입방미터)과 빈흥호아(1일 처리량 30,000입방미터)라는 두 개의 폐수 처리 시설이 있습니다.

Binh Hung 시설의 확장 및 운영으로 도시의 폐수 수집 및 처리 용량이 20.6%에서 40.8%로 증가했습니다. 2025년까지 Thu Duc City의 480,000 cubic meters/day Nhieu Loc-Thi Nghe 폐수 처리 시설이 가동되면 이 용량은 71.3%까지 증가할 것입니다.


유럽의 강자, SUEZ의 동남아 활약

SUEZ의 동남아 시장 공략사례

  1. 싱가포르:
    • SUEZ는 싱가포르 국가수자원공사(PUB)와 협력하여 스마트 워터 그리드 분석 플랫폼을 구축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이 프로젝트는 SUEZ의 AQUADVANCED® Water Networks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싱가포르의 수자원 관리 효율성과 회복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2. 말레이시아:
    • SUEZ는 말레이시아 테렝가누 주에 두 개의 식수 생산 플랜트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이 플랜트들은 2020년 중반까지 설치될 예정이며, 하루 64,000m³의 식수를 생산하여 40만 명의 주민들에게 공급할 것입니다.
  3. 필리핀:
    • SUEZ는 필리핀 일로일로 지역에 대규모 해수 역삼투압(SWRO) 담수화 플랜트를 설계, 건설, 운영하기 위해 현지 건설회사 JEMCO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4. 중국:
    • SUEZ는 중국 산동성 지닝 신소재 산업단지에 산업 폐수 처리 플랜트를 건설하고 운영하기 위해 산동 공공과 파트너십을 확장했습니다.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공식적인 MOU는 아니지만, SUEZ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SUEZ는 1953년부터 이 지역에서 지방 당국을 지원해 왔으며, 2015년부터는 싱가포르를 동남아시아 비즈니스 허브로 선택하여 혁신 센터와 물 기술 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니 폐수처리장 프로젝트
카테고리 : 공지사항, 베트남 물시장 | 태그 : 베트남정수장, 원심탈수기, 환경자료.
arkorea21

제지 자원재순환 사례 – 무림피앤피,한솔제지,전주페이퍼
두부폐수처리, 갈수록 늘어나는 두부소비량

공지사항

  • 즐거운 구정 연휴가 되시기 바랍니다.

    즐거운 구정 연휴가 되시기 바랍니다.

    2025-01-26
  • 2025년, 청사년 인사

    2025년, 청사년 인사

    2024-12-30
  • 에이알케이, INDO WATER F-13에서 만나요!

    에이알케이, INDO WATER F-13에서 만나요!

    2024-09-19
  • 2024년 추석 한가위 인사

    2024년 추석 한가위 인사

    2024-09-13
  • 에이알케이 PLC프로그램 개선 프로젝트

    에이알케이 PLC프로그램 개선 프로젝트

    2024-08-03

ARK칼럼

  • 원심탈수기 리디자인 3D 공모전 콘테스트 안내

    원심탈수기 리디자인 3D 공모전 콘테스트 안내

    2025-04-30
  • VIETWATER2024 참가안내(부스:K-24)

    VIETWATER2024 참가안내(부스:K-24)

    2024-11-01
  • 두부폐수처리, 갈수록 늘어나는 두부소비량

    두부폐수처리, 갈수록 늘어나는 두부소비량

    2024-10-10
  • 제지 자원재순환 사례 – 무림피앤피,한솔제지,전주페이퍼

    제지 자원재순환 사례 – 무림피앤피,한솔제지,전주페이퍼

    2024-09-23
  • 펄프폐수 처리 정보와 나노 셀룰로우스

    펄프폐수 처리 정보와 나노 셀룰로우스

    2024-08-21

ARK칼럼

원심탈수기 리디자인 3D 공모전 콘테스트 안내
VIETWATER2024 참가안내(부스:K-24)
두부폐수처리
두부폐수처리, 갈수록 늘어나는 두부소비량
제지 자원재순환 사례 – 무림피앤피,한솔제지,전주페이퍼
펄프폐수 처리 정보와 나노 셀룰로우스
에이알케이, 2024 ENVEX 참여 및 부스안내
석유폐수 정유폐수 처리 정보
해외 수처리 프로젝트 파트너 에이알케이
베트남 호치민 국립대 토목/조달/감리 프로젝트
인도네시아 진출전략
2024년 인도네시아 진출전략 가이드 – 코트라
이차전지 폐수처리
이차전지 폐수처리 관련 국내 업체리스트
무방류시스템 ZLD
무방류시스템(ZLD)과 이차전지 폐수 – 배경과 장단점
리튬채굴과 정제
리튬채굴과 환경영향평가 – 이차전지 인사이트vol.3
MENA 수처리
MENA지역 물산업 시장 이해 – 중동수처리 Vol.2
베트남 수처리시장 인사이트 vol.1
이차전지 염폐수란 무엇인가? ARK환경
새만금 폐수
새만금 이차전지 폐수정보 인사이트 vol.1
중동 수처리 시장 특성 Vol.1 – 두산중공업의 사례
인도네시아 가정 폐수 특성 연구자료
인도네시아 정수장 현황과 국내기업 진출사례

공지사항

즐거운 구정 연휴가 되시기 바랍니다.
2025년, 청사년 인사
베트남 물산업 시장동향
베트남 물산업 시장동향 코트라 인사이트 2024.09
에이알케이, INDO WATER F-13에서 만나요!
2024년 추석 한가위 인사
에이알케이 PLC프로그램 개선 프로젝트
جهاز الفصل بالطرد المركزي الشركة الكورية المبتكرة
에이알케이 구정인사
2024갑진년 신년인사
이차전지 폐수처리
이차전지 폐수처리 관련 국내 업체리스트
2023년, 에이알케이 송년인사
추석 한가위 인사드립니다.
방글라데시 정수장 탈수기 공급 에이알케이
여름하계 인사, 안전작업과 안전복귀를 기원합니다.
송다 상수도 공사
(주)에이알케이, 베트남 송다 상수도 공사와 MOU…한국환경공단 축사
에이알케이 신년사
2023년 계묘년 신년사 – 에이알케이 일동
물산업클러스터 해외수출형 공동기술개발과제 수행기관 선정 안내
다중원판형 스크류프레스 개발배경과 차별점
원심탈수기 미래기술의 에이알케이
에이알케이 원심탈수기만의 차별점 2가지
우수 조달 업체의 기술력 으로 만드는 고효율 원심분리기

애프터서비스

  • 운영정비 서비스
  • 환경솔루션 컨설팅
  • 워런티정책
  • 유지보수 서비스
  • 예비부품 교체

회사정책

  • R&D센터
  • 품질정책
  • 환경정책
  • 개인정보보호정책
  • 산업보건 및 안전

연락처

  • Tel : 02-561-5151
  • Fax : 02-561-9955
  • E-mail: arksludge21@gmail.com
  • 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은행나무로 230-17,1동
    (신왕리 810-5번지),(18633)

소셜네트워크

Copyright 2021 ar-korea.com © (주)에이알케이. All Right Reserved
  • [gtranslate]
  • 회사소개
  • A/S
  • 설치프로젝트
  • 기술문서 자료실
  • 환경설비 뉴스
  • 제품문의
  • PARTNERSHIP

로그인

비밀번호를 잊어버리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