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차전지 폐수처리 관련 실무자들이 참고할만한 국내기업들
이차전지 폐수는 폐수성상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방류시스템이 무조건 적인 답이 아닙니다.
증발농축은 복잡한 구조와 큰 규모로 매우 고가의 설비이며 모든곳이 필요하진 않습니다.
무방류는 설계상 물 값이 비싸거나 수원지에서 물 공급량이 적을때 하며, 대체적으로 물 값이 재생 비용보다 적을 때 검토합니다. 또한 재생의무 비율이 대형 건물에 있습니다.
때문에 무턱되고의 무방류시스템이 답이 아니며 대부분은 중금속류, T-P가 높은 문제입니다.
이럴 경우 화학적 처리만으로 가능하며, 제조업체와 폐배터리 자원업체마다의 폐수성상과 농도가 다른 경우가 있으므로 반드시 폐수성상 부터 아셔야 합니다.
첫번째로는 원수분석을 진행하신후 JAR TEST를 진행하시고 거기에 합당한 방지시설을 채택하시면 되나 사업규모가 작고 예산이 부족할 땐 전문 설계시공사를 컨택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사업규모가 크고 생태독성이 걱정이시라면 초기 투자비용이 크더라도 증발농축이 유리하거나 폐수처리장을 따로 만드시는게 유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이차전지 폐수의 생태독성 측정은 첫 단추부터가 어렵습니다.
생태독성 측정을 위한 물벼룩, 해양생물종에 대한 것은 매우 어려운 분야며, 이에 대한 전문 컨설팅이 필요하실 땐 네오엔비즈에서 다양한 생태독성시험분야 서비스와 컨설팅을 제공하오니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전체적인 염폐수에 대한 JAR TEST부터 폐수처리장 설계 등 전반적인 컨설팅이 필요하시면 수처리 명장 수원성주에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혹은 염폐수 관련 어려움을 겪으실 경우 환경공단의 ‘민관 합동기술지원반’에 문의하셔도 됩니다.
이차전지 폐수로 고민이 많으신 업체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며, 대한민국의 무거운 어깨에 힘을 보태줄 이차진지의 미래산업에 건승을 드리며 환경보호에도 앞장서는 기업이 되주시길 기원합니다.
업체명 | 분야 | 연락처 | 주소 | 비고 | 웹사이트 |
---|
상기 표는 염폐수에 관련된 ZLD무방류, MVR 등 실무자분들이 검색 해 찾기 힘든 전문 업체 리스트입니다.
한국환경공단(kepo.co.kr)의 민관 합동기술지원반 발족에 대한 기사는 여기 를 열람해보시면 됩니다.
이차전지 폐수처리 관련 업체리스트는?
주로 ZLD무방류시스템, 증발농축 설비 회사를 찾으시면 되며 국내 업체리스트를 조사해 공유해드립니다.
염폐수 관련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한국환경공단의 민관 합동기술지원반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이차전지 산업 인사이트 연재시리즈
Vol.1 새만금 이차전지 폐수정보 인사이트 vol.1 : 보기
Vol.2 이차전지 염폐수란 무엇인가? ARK환경 : 보기
Vol.3 리튬채굴과 환경영향평가 – 이차전지 인사이트vol.3 : 보기
Vol.4 무방류시스템(ZLD)과 이차전지 폐수 – 배경과 장단점 : 보기
Vol.5 이차전지 폐수처리 관련 국내 업체리스트 :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