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에이알케이 홍보실 황민희 입니다. ARK가 제공하는 환경설비 실무자를 위한 지식백과 제3편으로 원심탈수기 고장 대응법과 관리노하우에 대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제2편에선 화력발전소 폐수처리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렸는데, 이번 편은 1편 원심탈수기, 원심분리기, 원심농축기에 대한 햇갈리는 용어 비교에 따른 후속편인 고장 대응과 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원심탈수기는 가장 현대에 후속으로 개발 된 환경설비 제품으로 기존 방식인 필터프레스, 벨트프레스와는 다르게 물리적인 원심력을 사용해 물을 탈수하고 분리하는 물리적 특성을 이용합니다.
그렇다고 필터프레스나 벨트프레스가 원심탈수기에 비해 현저히 나쁜것은 아닙니다.
다만, 관리적인 측면에서 실무자들이 더 편하고 자동화 운전 등에 있어서 원심탈수기가 더 편리하고 스마트운전, 자동화 등에 있어서도 더 진보적인 발전을 이뤘고 혁신과제를 실천할 수 있는 것들도 가장 많습니다.
그럼, 이처럼 가장 진보화 된 탈수기인 원심탈수기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한 고장대응법과 관리노하우를 설명하겠습니다.
출처 : 환경부 공공하수도시설 유지관리 실무지침서 2005

원심탈수기는 원심력(회전)을 이용해 슬러지와 탈수여액을 분리하는 장치로서 횡형 원심탈수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원심탈수는 폴리머 약품을 주입해 개량한 슬러지에 중력가속도의 1,500~ 3,000배의 원심력을 이용합니다.
침전에서는 분리할 수 없는 미립자를 신속하게 분리하며 횡형 연속식 원심탈수기의 구조는 <그림1>과 같습니다.

유입슬러지는 약품과 혼합하여 슬러지 플록을 형성하며, 탈수기의 회전에 의해 탈수여액(청징액)과 고형물(탈수슬러지)로 분리됩니다.
분리된 슬러지는 차속장치에 의해 회전통의 회전수보다 낮은 회전으로 구동되는 스크루컨베이어에 의해 압밀되면서 탈수 슬러지로 배출되게 됩니다.
유입슬러지내에 포함된 모래와 불순물은 탈수기의 마모를 촉진시키거나 폐색의 원인이 되므로 전처리를 통하여 모래를 제거하고 불순물을 파쇄 할 필요가 있게 됩니다.
약품주입방식은 탈수기 외부에서 슬러지와 혼합시켜 공급하는 방식과 슬러지 공급관을 2중관으로 해서 슬러지와 분리해 공급한 후 탈수 설비내에서 혼합시키는 방식이 있습니다.
외부혼합 후 주입하는 방식은 이미 형성된 슬러지 플록이 탈수시 파쇄되기 때문에 사전 약품 주입률을 높게 해야 하며, 탈수기내에 분리주입하는 경우는 고액분리가 잘 이루어지며 약품소요 량도 적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원심탈수기의 공칭처리용량은 슬러지 처리량(m³/h)로 나타냅니다.
유입슬러지 고형물농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슬러지가 분리수축으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유입슬러지량을 공칭처리용량 이하로 감소시켜야 하며 유입슬러지 고형물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공칭처리용량보다 높은 경우도 처리 가능합니다.
원심탈수기를 운용하는 실무자는 운전관리시 다음 사항에 주의하여 실시합니다. (1) 운전 (2) 정지 (3) 운전상의 유의점
원심탈수기의 기동 및 정지는 부속장치가 적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탈수기에 비해 운전이 용이합니다.원심탈수기의 기동 및 정지는 부속장치가 적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탈수기에 비해 운전이 용이합니다.
원심탈수기 운전상의 주요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원심탈수기의 부속장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약품을 공급하기 위한 폴리머 공급펌프, 슬러지 공급펌프, 유량계 등 다양한 부대시설이 존재합니다. (1) 슬러지 공급펌프 (2) 약품 공급펌프 (3) 응집 혼화장치



(1) 유입슬러지 (2) 탈수여액 (3) 탈수슬러지 (4) 원심력 (5) 약품주입률
약품 주입설비의 항을 참조하여 관리합니다.
원심탈수기에서는 유입슬러지의 고형물농도, 고형물부하에 따라 분리액의 SS농도가 변화하므로 분리액을 분석하여 이상현상을 조기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탈수슬러지의 함수율은 보통 80% 정도 이하이며 현저히 함수율이 증가할 경우에는 슬러지성상, 약품종류 및 주입률 등을 파악하여 조치한다
원심력이 탈수슬러지 함수율, 고형물 회수울에 미치는 영향은 <그림2>와 같다. 최적의 원심력은 탈수슬러지의 고형물농도, 고형물회수율에 영향을 주는데 최적의 원심력은 회전원통의 형상, 슬러지의 성상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원심력의 변화보다는 슬러지성상변화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정상운영시의 관리는 다음 사항에 주의하여 실시합니다. (1) 유입슬러지의 슬러지량과 성상 (2) 탈수슬러지의 함수율 및 탈수여액
유입슬러지량은 가능한 일정하게 하며 유입슬러지량의 변화가 큰 경우 탈수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운전 중 탈수효율이 현저히 낮아진 경우 슬러지공급량의 조정, 차속의 조정, 탈수여액 수위조정 등으로 탈수효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다음의 이상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여 관리합니다.
(1) 탈수기의 기계적 이상
(2) 탈수 상태의 이상
운전 중 탈수효율이 현저히 낮아진 경우 슬러지공급량의 조정, 차속의 조정, 탈수여액 수위조정 등으로 탈수효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운전 중 이상현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현상에서 원인을 추정하고 적절한 조치하여야 하며 이 상발생 원인에 대한 대책은 <표: 탈수상태의 이상>와 같습니다.
슬러지 개량설비에서 전처리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슬러지의 탈수성이 악화됩니다.
[wpdatatable id=8]
탈수효율에 이상현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원인에 따른 여러 영향을 고려하여 <표1>을 참조해 대책을 수립, 조치하고 탈수기 뿐만이 아니라 농축, 전처리 조작 등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① 유입슬러지의 고형물농도 저하 및 변화, 유기분의 변동, 유입슬러지량의 변동에 대해서는 <표2>를 참조해 관리합니다.
② 약품주입률 및 약품 선정의 부적절 운전 시작 전에 슬러지 성상과 약품주입률, 탈수슬러지 함수율, 원심력, 탈수여액수위, 차 속 등의 관계를 파악해야 하며, 슬러지성상과 탈수조건에 알맞는 약품주입률을 결정합니다. 약품선정시 탈수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약품을 선정하며, 현장테스트를 통하여 약품주입률, 탈수조건등을 결정한다. 원심탈수기의 탈수시험은 정해진 방법은 없으나 자 테스트(Jar test)에 의한 응집시험 등을 실시합니다.

③ 탈수기의 운전 조작 조건의 부적절 슬러지 성상과 부하에 알맞은 탈수여액의 수위와 차속을 조절해 운영합니다.
농축공정에서 고형물농도를 증가시킵니다.
잉여슬러지 방출을 검토하고, 유기분을 일정하게 유지시킵니다.
농축, 소화, 세정공정에서 배출슬러지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킵니다.
유입슬러지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킵니다.
약품주입률, 약품의 종류, 탈수조건을 조정시킵니다.
탈수여액의 수위, 차속을 조정합니다.
약품주입률, 약품의 종류, 탈수조건을 조정합니다.
전기 회로 및 전원부를 점검하며 전동기 가열 및 손상 수리 및 제어회로와 안전장치와 탈수슬러지를 세정하고 점검, 조정합니다.
스케일을 부착해 세정합니다.
슬러지 개량설비에서 전처리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슬러지의 탈수성이 악화됩니다.
[wpdatatable id=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