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에이알케이 홍보실 황민희 입니다.

오늘은 대한민국 산업의 핵심산업인 전기전자 업종의 폐수처리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주로 반도체 공정과 관련된 전기전자는 초순수(UPW : Ultra Pure Water)를 사용하며 전자부품 중에서도 반도체, 디스플레이, Nano연구분야 등에 세척등에 쓰입니다.
초순수는 말그대로 가장 순수한 물을 뜻하며 비저항값 level(18.25㏁.cm)에 가장 가깝습니다. 미세한 이물질 조차도 반도체 전류 흐름을 방해하는데 초순수는 이런 이물질이 없습니다.
초순수는 과거 일본의 독점기술이였으나 현재 대한민국도 초순수 기술을 가지게 되었으며 초순수 공정은 자외선 산화, 이온 교환 등 24단계 과정을 거쳐야 제조가능합니다.
반도체는 아주 깨끗한 환경에서 제작되는 이유는 미세한 이물질로 인한 전류흐름 방해시 성능 보장이 되지 않기에 전자제품이 쓰이는 아주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곳에서는 막대한 손실을 일으킬 수 있기에 초순수가 필요한 것입니다.
반도체 웨이퍼를 만들 때 실리콘 웨이퍼를 씻는 공정상 사용되는 초순수. 그리고 다른 전기전자 폐수에 관련된 사항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모래에서 규소로 추출된 실리콘을 실리콘결정 성장 기술로 실리콘을 고온으로 녹인 후 용액으로 만들고 단결정으로 식혀 Ingot(잉곳)으로 만듭니다.


이 잉곳을 톱으로 잘라 반도체 웨이퍼를 생산하게 되는데 발생하는 1차 폐수가 생성됩니다.

전기전자 제품의 생산공정은 제품마다 상이하지만, 공통적으로 ‘초순수’ 같은 물로 ‘세정’작업을 거치며 이때 폐수가 발생하는데 있습니다.
| 구분 | pH | 내용 |
| 저농도 폐수 | 산성 3~5 | 불소이온, 질산이온, 인산이온, 실리카, 유기물(BOD,COD), 암모늄이온, 과산화수소 |
| 고농도폐수 | 황산, 염산, 질산, 과산화수소, 불소, 산성불화암모늄, 실리콘분말 |
1차 가공시의 현탁수 : 상기 공정에서 1차 잉곳을 절단해 웨이퍼 가공시 실리카가 포함된 물을 뜻하며 탁도가 높지만 용해성 화학물질이 적기에 막 여과 기술을 사용해 정화 후 상당부분은 재사용 처리를 합니다.

반도체 공정에서 대량으로 사용되는 물질은 불산입니다. 때문에 폐수에는 불산과 과산화수소가 포함되어 있기에 이를 분해하기위해 효소인 카타라아제를 사용해 분해하며, 이후 염화칼슘과 수산화칼슘을 이용해 중화/응집 처리를 합니다.
응집침전 부산물은 불화칼슘 슬러지로 시멘트 제조회사에 납품되기도 하며, 처리수는 모래여과와 활성탄 처리를 하고 재사용되기도 합니다.
상기 설비공정은 무기계 공정이며, 유기계의 경우 유량조정조-폭기조-모래여과탑-활성탄 탑 등의 추가 설비가 들어가며 응집처리수를 생물처리 활성 슬러지로 분해하기도 합니다.
국내 순수/초순수 설비 기업리스트
| 구분 | 업체명 | 전화번호 | 홈페이지 |
| 순수설비 | 쿠리타한수(주) | 031-789-1700 | 보기 |
| 순수/초순수 | 웰크론한텍 | 031-350-8900 | 보기 |
| 초순수 설비 | 대한환경 | 053-763-1911 | 보기 |
| 초순수 설비 | 진영이엔티 | 031-457-6565 | 보기 |
| 초순수 설비 | (주)코리아워터트롤 | 02-943-9623 | 보기 |
| 초순수 설비 | 해동테크놀로지 | 031. 386. 3901 | 보기 |
| 초순수 설비 | 아크로워터테크 | 070-5129-6501 | 보기 |
| 초순수 설비 | 테크윈 | 043-261-8114 |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