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다모아 폴리머

주성분: 폴리아크릴아미드(PAM)
저렴하고 비용 효율적
용해 시간: 30~60분
운반 및 보관이 간편한 분말 형태
운전자를 위한 안전
분말 형태의 폴리머 음이온 A1110.
분말 형태의 폴리머 음이온 A1110.
제품카테고리: 폴리머
소셜계정으로 공유하기

폴리머 음이온 및 개요 양이온 분말

ARK의 고분자 분말은 전 세계 여러 나라에서 수입되고 있습니다. 국내 최초로 상용화된 2개의 브랜드를 기반으로 합니다.
주요 구성요소 폴리아크릴아미드(PAM)에는 음이온(A1110)과 양이온(C149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준비 분말, 무수물
가격 저렴한 비용 절감
장점 운반 및 보관 용이
반응성 크고 부유하며 침전물이 생성되지 않음(특히 C1492의 경우)
독성 운전자를 위한 안전

ARK 슬러지 처리 화학물질

우리가 유통하고 있는 폴리머 슬러지 처리 제품은 많은 선진국에서 수입되고 있습니다. 첨단 유기 합성 라인 사용. 폴리머 브랜드(하나로)와 다모아(다모아)를 베이스로 이 두 브랜드는 김치의 땅에서 처음으로 상품화되었다. 현재 우리는 주로 음이온 폴리머 A1110 및 양이온 폴리머 C1492의 2가지 제품 코드를 배포합니다. 주성분이 폴리아크릴아미드일 때 화학적 성질은 유사합니다. 분말, 유제 또는 용해성 용액으로 포장됩니다. 모든 유형의 진흙 프레스에 적합한 폴리머 용액의 농도는 0.15 ~ 0.2%입니다.

고분자 음이온 A1110(분말)

주요 성분은 폴리아크릴아미드 – PAM(화학식 -JUST2CHCONH2 -)이며 음이온을 포함합니다.
ARK는 분말 형태 외에도 이 제품의 에멀젼 형태도 유통하고 있습니다. 분말 형태의 장점은 부피가 적고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합니다.

그러나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물에 잘 녹지 않습니다. 용출 시간이 길기 때문에 용출 탱크의 임펠러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작동해야 합니다. 분말 폴리머는 건조제입니다. 공기에 노출되면 덩어리지기 쉽기 때문에 물에 용해되기 어렵습니다.
대조적으로, 에멀젼과 용액은 용해 시간이 매우 빠릅니다. 혼합 탱크에서 단 5분이면 슬러지 프레스에 즉시 공급할 수 있습니다. 에멀젼 폴리머의 물 성분도 순수한 물입니다.

따라서 밀봉이 잘 된 특수 용기와 건조 장치를 사용합니다. 모두 더 나은 보관 및 운송을 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물에 잘 녹지 않습니다. 용출 시간이 길기 때문에 용출 탱크의 임펠러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작동해야 합니다. 분말 폴리머는 건조제입니다. 공기에 노출되면 덩어리지기 쉽기 때문에 물에 용해되기 어렵습니다.
대조적으로, 에멀젼과 용액은 용해 시간이 매우 빠릅니다. 혼합 탱크에서 단 5분이면 슬러지 프레스에 즉시 공급할 수 있습니다. 에멀젼 폴리머의 물 성분도 순수한 물입니다.

음이온성 폴리머 용액은 모든 유형의 폐수 및 급수에 적합합니다. 양이온성 폴리머보다 저렴하고 접근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음이온성 폴리머의 단점은 무시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양이온성 폴리머보다 크기가 더 작고 침전되기 쉬운 플록을 형성합니다.

폴리메 양이온 C1492(분말)

고분자 양이온 C1492 또한 주성분이 폴리아크릴아미드 – PAM(화학식 -CH2CHCONH2</ sub>-)입니다. 및 양이온을 포함합니다.
이 제품의 에멀젼 형태는 특히 대량 구매 시 비교적 고가입니다. 대부분의 폐수 및 급수 응용 분야를 위한 양이온성 폴리머 솔루션. 이들은 강력하게 반응하여 (응집제) 폐수에 존재하는 부유 고체를 응고시킵니다.

액체는 물에 떠 있는 커다란 물질을 생성합니다. 특히 침전물이 없어 머드 프레스에 도움을 주어 운전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 폴리머의 주요 화학 성분은 무엇입니까?

ARK의 폴리머 제품은 액체 내부의 고체를 응고시키는 폴리아크릴아미드 – PAM(화학식: [ -CH2CHCONH2- ])을 주성분으로 하며, 폐수처리, 오일회수, 화장품 등에 사용 , 종이 및 직물 가공.

  • ENVEX2025 전시회 참관안내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5-06-09

    혁신적인 원심탈수기 기술의 미래를 만나보세요

    (주)에이알케이 전시회에 초대합니다!

    존경하는 물산업 분야 관계자 여러분,

    물산업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는 (주)에이알케이가 오는 6월 11일(수)부터 6월 13일(금)까지 코엑스 L-13에서 개최되는 특별 전시회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이번 전시회에서 저희 (주)에이알케이는 독자적인 기술이 집약되어 있는 저희 고효율 원심탈수기를 전시할 예정입니다. 환경 문제 해결과 자원 효율성 증대에 기여할 저희 원심탈수기는 이미 많은 산업 분야에서 그 성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물산업 분야의 분들이 함께 하는 ENVEX는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합니다.

    상세한 프로그램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가능합니다.

    https://envex.or.kr/kor/conference/schedule1.asp

    에이알케이 부스안내

    L13은 한국환경공단관에 속해 있습니다. ^^

    • 일시: 2025년 6월 11일(수) ~ 6월 13일(금)
    • 장소: 코엑스
    • 부스: (주)에이알케이 (L-13)
    2025-06-09

    ENVEX2025 전시회 참관안내

    2025-08-10
  • 즐거운 구정 연휴가 되시기 바랍니다.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5-01-26

    안녕하세요, 에이알케이의 소중한 가족 여러분! 🎊

    2025년 구정을 맞이하여, 진심 어린 새해 인사를 전해드립니다. 지난 한 해 동안 에이알케이와 함께해 주신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우리가 개발한 수처리용 탈수기처럼, 올해도 여러분의 삶에서 불필요한 것은 깔끔하게 탈수되고, 순수하고 값진 것들만 남는 한 해가 되길 바랍니다. 💧✨

    구정은 가족과 친지들과의 소중한 시간을 나누는 명절이죠. 바쁜 일상 속에서도 잠시 멈추어,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따뜻한 정을 나누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가족들과 함께 맛있는 음식을 나누며, 웃음꽃이 피어나는 행복한 시간 보내세요. 🥟🍊

    에이알케이는 올해도 여러분과 함께 성장하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입니다. 우리의 탈수기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더 많은 곳에서 사랑받고 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여러분의 성원과 응원이 있다면, 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을 거라 믿어요. 💪🚀

    새해에는 건강과 행복이 가득한 날들로 가득 차길 바라며, 에이알케이와 함께하는 모든 분들에게 큰 기쁨과 성취가 넘치는 한 해가 되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

    구정 연휴 잘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에이알케이 드림

    2025-01-26

    즐거운 구정 연휴가 되시기 바랍니다.

    2025-08-10
  • 2025년, 청사년 인사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4-12-30

    존경하는 고객 여러분,

    2025년 청사의 해를 맞이하여 (주)에이알케이 임직원이 인사드립니다.

    지난 2024년은 대한민국 물산업이 의미 있는 도약을 이룬 해였습니다. 한국환경공단의 물클러스터를 통한 해외 수출이 1,093억 원을 달성하며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고, 산업 전반의 성장률도 2.9%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했습니다. 특히 물산업 전반에 걸쳐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친환경 솔루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진 한 해였습니다.

    저희 에이알케이는 이러한 시장의 변화 속에서 하·폐수처리장용 원심탈수기 전문기업으로서, 끊임없는 기술혁신을 통해 고객 여러분의 신뢰에 보답하고자 노력해 왔습니다. 현장에서 들려주신 소중한 의견들을 하나하나 반영하여 제품의 성능을 개선하고,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데 전력을 다해왔습니다.

    2025년에는 더욱 진보된 기술력으로 스마트 워터 시스템을 구현하고, 친환경 솔루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자 합니다. 특히 향후 AI와 빅데이터를 접목한 차세대 원심탈수 기술 개발에 전사적 역량을 집중할 것이며, PLC프로그램의 리뉴얼도 앞두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준비도 착실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현지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국제 인증 획득을 통해 제품의 신뢰성을 입증하겠습니다. 한국물클러스터와의 협력을 통해 해외 전시회 참가도 확대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대한민국 물산업의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하겠습니다.

    무엇보다 임직원 모두가 한마음 한뜻으로 혁신을 추구하며, 고객 여러분께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품질 혁신, 기술 개발, 고객 서비스 향상이라는 세 가지 핵심 가치를 바탕으로, 물산업의 미래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습니다.

    2025년 청사의 해, 에이알케이는 여러분의 신뢰와 성원을 바탕으로 더 큰 도약을 이루겠습니다. 고객 여러분의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주)에이알케이 대표이사 드림

    2024-12-30

    2025년, 청사년 인사

    2025-08-10
  • 베트남 물산업 시장동향 코트라 인사이트 2024.09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4-09-23
    베트남 물산업 시장동향
    베트남 물산업 시장동향

    ※ 당자료는 KOTRA 하노이무역관 지혜님이 올려주신 자료로 상업적 목적이 아닌 베트남 현지 공장을 운영하는 기업으로써 관련 업계에 도움을 드리고자 공유합니다.
    ※ 작성자: Hong Phuong La

    자료: Decision No. 1622/QD-TTg, MPDI, MONRE, FiinGroup, VARS,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출처 : https://me2.do/58NT3PhH


    수자원이 풍부하다고 인식되지만, 실제로 가용한 수자원은 부족

    상하수도·수처리 분야 등 물분야 관련 인프라 부족 등 다양한 과제

    정부 프로젝트, 인센티브 대상이나 투자진출 시 유의할 필요

    베트남 수자원 현황

    베트남은 연평균 강우량과 하천 유량이 많아 수자원이 풍부한 국가로 인식되지만, 실제 사용가능한 물의 양은 부족한 상황이다. 베트남 천연자원환경부에 따르면, 베트남의 총 잠재 지하수 자원은 연간 약 910억㎥이지만 이 중 이용가능한 담수 매장량은 연간 약 220억㎥에 불과하다.

    이에 더해 베트남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염수침투 등의 문제도 안고 있어, 올해 4월에는 가뭄과 염류화로 인한 담수 부족으로 정부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기까지 했다.

    베트남 천연자원환경부는 2030년까지 베트남의 물 수요량이 가정용 및 공업용 소비를 합쳐 연간 약 1224억7000만㎥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베트남의 물 수요량>

    지역2022년2030년까지2050년까지
    (십억 ㎥/년)(십억 ㎥/년)(십억 ㎥/년)
    연간건기우기연간건기우기연간건기우기
    베트남117.8177.9339.88122.4780.5041.97131.7286.1845.54

    [자료: Decision No. 1622/QD-TTg]

    가정용 생활용수 및 산업용 공업용수 수요 현황

    베트남의 가정용 생활용수는 인구 증가, 도시화에 따른 상수도 보급률 확대에 따라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중이다. 금융 정보 제공업체 핀그룹(Finn Group)이 2024년 2월 발표한 ‘베트남의 물 공급: 물 수요에 따른 높은 성장 잠재력’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의 상수도 보급률은 2021년 53.2%에서 2025년 67.3%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베트남은 대규모 FDI의 유입에 따른 산업단지 개발로 인해 공업용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 부동산중개인협회(VARS, Vietnam Association of REALTORS)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베트남에는 총 21만 7000ha에 달하는 414개의 산업단지가 조성돼 있고 전체 산업단지의 평균 입주율은 70% 이상이다. 특히 북부 및 남부 지역의 1등급(Tier-1) 산업단지의 입주율은 각각 81%와 92%에 달한다. 산업단지 입주율이 상승하면서 산업용수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 상하수도 및 수처리 산업 현황

    베트남 상하수도 협회(VWSA, Vietnam Water Supply and Sewage Association)의 관계자 A씨는 KOTRA 하노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베트남에는 현재 하루 200만㎥ 이상의 폐수처리 용량을 갖춘 약 80개의 폐수처리 프로젝트가 시행되고 있지만 폐수 수거율은 60%, 처리율은 17%에 불과”하다며 베트남의 배수 인프라와 가정용·산업용 폐수처리, 깨끗한 물 확보 등 관련 산업에 2030년까지 최소 90억 달러의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실제로 하노이나 호치민 등 주요 도시는 매년 홍수 등 배수 문제를 겪고 있어 인프라 개선이 시급한 상태로, 상하수도 및 수처리 산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경쟁동향

    현재 베트남의 주요 수처리 및 상하수도 기업은 대부분 공적개발원조(ODA) 자금이나 공공 투자 프로젝트를 통한 국가 예산으로 건설된 후 국영기업이 관리하고 있다. 복잡한 행정절차, 낮은 수익률, 현지 기업과의 네트워크 부족으로 외국계 기업은 소수에 불과하다.

    <베트남 주요 수처리 공급 기업>

    연번기업명처리 용량(㎥/일)처리 유형처리시설 주요 소재지웹사이트
    1Hanoi Sewerage and Drainage Company280.5가정폐수하노이thoatnuochanoi.vn
    2Phu Dien Construction Investment and Trading Joint Stock Company388.0가정폐수하노이, 호찌민시, 박닌 등phudiengroup.vn
    3VSIP53.0산업 폐수VSIP 박닌 산업단지www.vsip.com.vn
    4Becamex IDC66.0산업 폐수빈즈엉 소재 산업단지becamex.com.vn
    5Sonadezi Service Joint Stock Company54.5가정폐수 및 산업 폐수동나이, 바리어-붕따우 소재 산업단지news.sonadezi-sdv.com.vn

    [자료: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베트남 주요 상하수도 공급 기업>

    연번기업명공급 용량(㎥/일)주요 운영 현황웹사이트
    1SAWACO(Saigon Water Corporation)2,400,000호찌민시 내 8개 정수장 운영https://sawaco.com.vn/
    2HAWACO(Hanoi Water Limited Company)600,000하노이 내 도심 7곳, 외곽 3곳 포함 12개 정수장 운영http://portal.hawacom.vn/
    3DNP Water(Dong Nai Plastic JSC)1,000,000베트남 11개 주에 11개 정수장 운영https://dnpcorp.vn/nganh-nuoc/
    4BIWASE(Binh Duong Water-Environment Corporation JSC)760,000빈즈엉, 빈푹, 깐토, 롱안, 꽝빈 주에 9개 정수장 운영https://biwase.com.vn/
    5Song Duong River Company300,000하노이 외곽 및 박닌, 흥옌 지역http://sdwtp.vn/

    [자료: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관련 정책 및 기관

    베트남은 산업·가정폐수에 관한 국가 기술 규정(QCVN40:2011/BTNMT, QCVN 14:2008/BTNMT)을 두고 있으므로 관련 기업은 해당 규정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업단지 내 수처리 투자와 관련해서는 2020년에 개정된 환경보호법(Law No. 72/2020/QH14) 및 시행령(Decree No. 08/2022/ND-CP)을 참고할 수 있다.

    현재 베트남 천연자원환경부는 배수, 폐수 및 폐기물 처리 부문에서 민관합작투자사업(PPP, Public Private Partnership) 모델에 따른 투자 활동에 대한 시행규칙 초안을 개발하고 있으며, 천연자원환경부 장관은 해당 시행규칙을 2024년 말까지 개발, 발표한다고 밝혔다.

    한편 베트남의 수자원 관리 및 규제 관여 부처와 기관은 다음과 같다.

    <베트남의 주요 수자원 관리 및 규제 담당기관>

    연번기관명담당 역할웹사이트
    1천연자원환경부(MONRE,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수자원을 포함한 천연자원과 환경의 전반적인 관리 담당지속 가능한 수자원 관리 및 환경보호를 위한 정책, 전략 및 계획을 수립https://www.monre.gov.vn/
    2농업농촌개발부(MARD, 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농업, 관개, 농촌 개발 분야의 수자원 관리를 감독관개 시스템을 개발 및 관리하고 농업 활동을 위한 물 공급을 확보하는 데 관여https://www.mard.gov.vn/
    3건설부(MOC, Ministry of Construction)도시 상수도 및 폐수처리를 담당도시지역의 상수도 시스템과 위생 인프라에 대한 정책, 표준 및 규정을 수립https://moc.gov.vn/
    4산업무역부(MOIT, Ministry of Industry and Trade)공업용 수자원 관리 및 수력발전 프로젝트의 개발 및 규제에 관여수력발전 및 배전을 포함한 전력 시장 감독https://moit.gov.vn/
    5베트남 상하수도협회(VWSA, Vietnam Water Supply and Sewerage Association)상하수도 부문 개발 지원물 관리 모범사례에 관한 기술 및 교육 지원https://vwsa.org.vn/
    6베트남 메콩 위원회(VNMC, Vietnam National Mekong Committee)메콩강위원회(MRC, Mekhong River Commission)와 협력하여 메콩강 유역의 수자원 관리주변 국가와 협력하여 유역 수자원의 지속 가능한 사용과 개발을 보장https://vnmc.gov.vn/
    7국립수자원계획조사센터(NAWAPI, National Center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Investigation)수자원과 관련된 연구, 계획 및 조사를 수행수자원 관리 및 정책 수립을 위한 정보를 제공https://nawapi.gov.vn/
    8베트남 수자원과학연구소(VAWR, Vietnamese Academy for Water Resources)수자원 관리, 관개, 수력발전을 위한 연구 수행 및 과학·기술 지원https://www.vawr.org.vn/
    9베트남 환경협회(AWATEN, Vietnam Association for Safe Water and Environmental)베트남의 안전한 물 및 깨끗한 환경을 보장http://awaten.org.vn/
    10호찌민 물환경협회(HAWE, Ho Chi Minh City Water and Environment Association)호찌민시 내 물 및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둠https://www.hawe.com.vn/

    [자료: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시사점 및 진출전략

    베트남은 상하수도, 수처리 등 도시와 산업 인프라 확충뿐만 아니라, 기후변화로 인한 다양한 수자원 문제 해결 등 물산업 분야에서 여러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는 관련 기술과 노하우를 보유한 우리 기업들에게는 투자와 진출의 기회로도 작용할 수 있다. 다만 베트남 정부가 민간 및 해외 자본 유치에 적극적이긴 하지만, 복잡한 행정절차와 까다로운 규제를 고려해 진출 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KOTRA 하노이 무역관은 한국수자원공사(K-Water)와 9월 22일부터 9월 25일까지 ‘2024 동남아 물산업 무역사절단’을 진행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관련 우리 기업들의 진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작성자: Hong Phuong La

    자료: Decision No. 1622/QD-TTg, MPDI, MONRE, FiinGroup, VARS,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베트남은 현재 폭발적인 인구증가로 인해 지난해 공식적으로 1억이 넘는 국가로 등재되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인 동남아 시장은 ODA로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풍부한 도시개발경험이 수처리 EPC능력과 AI-딥러닝 등의 고도화 된 데이터기반 예측 시스템까지 도입하려는 상황입니다.

    동남아시장에서의 프랑스 SUEZ와 일본의 기업들의 활약과 더불어 이들과 견주어도 실력적으로 밀리지 않는 대한민국 기업들의 활약을 기대합니다. 당사 ARK는 베트남에 원심탈수기 개발공장을 둔 기업으로 국내 기업분들의 정수장 활약을 기대합니다.


    사이공타임즈의 일본-베트남 ODA 정수장 프로젝트

    베트남, 태국만큼의 도시화로 향하는 개발도상국으로 한국과 일본, 유럽국가들의 물산업 각축전?

    베트남 물산업

    https://english.thesaigontimes.vn/vietnams-largest-wastewater-treatment-plant-inaugurated-in-hcmc

    사진 : 베트남과 일본 대표단이 빈흥 폐수 처리 시설 2단계 개장을 위해 버튼을 누르고 있다 – 사진: HCMCPV.ORG.VN

    호치민시 – 베트남 최대 규모 폐수 처리 시설인 빈흥 폐수 처리장이 오늘 아침 8월 30일 호치민시에서 준공되었으며, 일일 처리 용량은 469,000m3입니다.

    베트남 최대 규모의 폐수 처리 시설, 호치민시에 준공

    이 시설은 일본의 공식 개발 원조(ODA) 대출과 베트남의 상호 자본으로 자금이 조달된 호치민시 수질 환경 복원 프로젝트 2단계(11조 3,000억 VND)에 속합니다.

    호치민시 교통공사건설투자프로젝트관리국(TCIP)의 루옹 민 푹 국장은 2단계 공장은 하루 469,000입방미터의 폐수를 처리하는데, 이는 1단계보다 328,000입방미터 더 많은 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시설은 4, 5, 6, 8, 10, 11구와 빈찬구에 있는 2,500헥타르가 넘는 땅에서 나오는 폐수를 처리하여 타우후-벤응에-도이테 운하 유역의 환경 오염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약 180만 명의 주민에게 혜택을 줄 것입니다.

    호치민시에는 탐르엉-벤캇(1일 처리량 131,000입방미터)과 빈흥호아(1일 처리량 30,000입방미터)라는 두 개의 폐수 처리 시설이 있습니다.

    Binh Hung 시설의 확장 및 운영으로 도시의 폐수 수집 및 처리 용량이 20.6%에서 40.8%로 증가했습니다. 2025년까지 Thu Duc City의 480,000 cubic meters/day Nhieu Loc-Thi Nghe 폐수 처리 시설이 가동되면 이 용량은 71.3%까지 증가할 것입니다.


    유럽의 강자, SUEZ의 동남아 활약

    SUEZ의 동남아 시장 공략사례

    1. 싱가포르:
      • SUEZ는 싱가포르 국가수자원공사(PUB)와 협력하여 스마트 워터 그리드 분석 플랫폼을 구축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이 프로젝트는 SUEZ의 AQUADVANCED® Water Networks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싱가포르의 수자원 관리 효율성과 회복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2. 말레이시아:
      • SUEZ는 말레이시아 테렝가누 주에 두 개의 식수 생산 플랜트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이 플랜트들은 2020년 중반까지 설치될 예정이며, 하루 64,000m³의 식수를 생산하여 40만 명의 주민들에게 공급할 것입니다.
    3. 필리핀:
      • SUEZ는 필리핀 일로일로 지역에 대규모 해수 역삼투압(SWRO) 담수화 플랜트를 설계, 건설, 운영하기 위해 현지 건설회사 JEMCO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4. 중국:
      • SUEZ는 중국 산동성 지닝 신소재 산업단지에 산업 폐수 처리 플랜트를 건설하고 운영하기 위해 산동 공공과 파트너십을 확장했습니다.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공식적인 MOU는 아니지만, SUEZ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SUEZ는 1953년부터 이 지역에서 지방 당국을 지원해 왔으며, 2015년부터는 싱가포르를 동남아시아 비즈니스 허브로 선택하여 혁신 센터와 물 기술 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니 폐수처리장 프로젝트
    2024-09-23

    베트남 물산업 시장동향 코트라 인사이트 2024.09

    2025-08-10
  • 에이알케이, INDO WATER F-13에서 만나요!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4-09-19

    2024년, INDO WATER 에이알케이 소식.

    https://www.youtube.com/watch?v=s-lGlUR-T-M&ab_channel=ARKVi%E1%BB%87tNam

    안녕하세요 에이알케이입니다. 2024년 한가위가 끝나고 이렇게 다시 전시회 소식을 알립니다.

    이번 인도네시아 수처리 전시회인 INDO WATER는 추석당일부터 열려 오늘이 2일차 입니다.

    인도네시아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세계적인 팜유생산국 1-2위를 다투는 국가이자, 천연자원이 많아 향후 세계8강안의 대열로 들꺼란 세계지정학자들의 발언이 끊이지 않는곳.

    에이알케이는 베트남 현지에서 원심탈수기를 생산하는 전세계 기업중 유일의 기업입니다. 일반적으로 독일-유럽-북미계열의 원심탈수기는 동남아에서 현지 생산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당사 에이알케이는 동남아 물시장과 동남아 진출 국내 EPC 환경기업들의 파트너이기도 합니다.

    인도네시아 바이어들을 만나다.

    인도네시아는 과거 몇년전부터 수도이전에 대한 문제로 세계적인 관심을 받아 왔습니다. 지하수를 많이 써오던 것이 누적되 싱크홀을 넘어선 국가 수도이전이라는 이슈가 있습니다.

    이러한 물산업 관련 인도네시아의 고민과 숙제는 금번 전시회에서도 여실히 드러났습니다. 갈수록 고도화 되는 식품산업과 이차전지 관련 광물자원의 제품화에서 니켈이 많은 인도네시아는 폐수에도 신경쓰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리 에이알케이 부스를 찾아와 주신 다양한 바이어분들은 탈수기 중에서도 가장 선호되는 최신의 기술인 원심탈수기에 대한 관심이 많았습니다.

    주로, 식품-수산업 및 광물산업, 지방상수도 공사의 정수장에서의 폐수처리에 관한 관심이 많다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인도네시아의 물산업 주요 이슈는 아래와 같습니다.

    인도네시아 물산업 주요 이슈 Top 5

    1. 수도 이전에 따른 대규모 물 인프라 구축
      인도네시아의 수도 이전 계획에 따라 새로운 수도에 대규모 물 인프라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상하수도 시설, 수처리 시설 등 다양한 물 관련 인프라 수요를 창출할 것입니다.
    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물재해 관리 강화
      기후변화로 인한 물재해 증가에 대비하여 홍수 및 가뭄 관리 시스템 구축, 재해 예방 인프라 확충 등이 중요한 이슈로 인도네시아 정부가 고민하고 있습니다.
    3. 신규 오염물질 규제 강화에 따른 수처리 기술 수요 증가
      새로운 오염물질에 대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고도 수처리 기술 및 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디지털 전환을 통한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도입
      물산업의 디지털화 추세에 따라 스마트 미터링, IoT 기반 누수 감지 시스템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도입이 확대될 것이라 합니다.
    5. 도시화에 따른 물 수요 증가 대응
      인도네시아의 지속적인 도시화로 인해 증가하는 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수자원 확보 및 효율적 관리 방안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될 것입니다.

    이러한 이슈들은 개발도상국에 분류되는 동남아 대부분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이며, 기후변화에 따른 불확실성의 호우-가뭄 등에 대한 공통적인 이슈이기도 합니다.

    인도네시아의 앞으로의 물산업에서 대한민국의 환경기업들의 활약을 기대해 보는 바입니다.

    과거 우리가 겪어 왔던 물산업에 대한 열정은 K-WATER라는 하나의 장르로써 수많은 국내 기업들이 멋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에이알케이 또한 원심탈수기와 스크류프레스 개발기업으로써 같은 마음으로 동남아시아에서 활약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이상 부스F13에서 첫날의 모습이였습니다.

    2024-09-19

    에이알케이, INDO WATER F-13에서 만나요!

    2025-08-10
  • 2024년 추석 한가위 인사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4-09-13

    존경하는 물산업 종사자 여러분,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을 맞이하여 에이알케이 임직원 일동은 여러분과 가족 모두의 건강과 행복을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올여름 너무나도 무더웠던 한해로 기억하시죠? 물산업 종사자분들의 안전과 하폐수,정수처리의 기술의 진보에 축하인사도 같이 드리는 바 입니다.

    2024년은 우리 물산업에 있어 도전과 성과가 공존했던 의미 있는 한 해였습니다. 먼저, 산업 안전 측면에서 큰 진전이 있었습니다. 물산업 종사자들의 노력으로 산업재해 발생률이 전년 대비 15% 감소하여, 더욱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해외 시장에서도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물산업 관련 제품과 기술의 해외 수출액이 70억 달러를 돌파하여, 대한민국 물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습니다. 특히, 동남아시아와 중동 지역에서의 수처리 플랜트 수주가 30% 증가한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국내에서는 정부 주도의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도입이 본격화되어, 수자원 이용 효율성이 전국 평균 10% 향상되었습니다. 이는 향후 물 부족 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물 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에이알케이는 이러한 업계의 발전과 혁신에 발맞추어, 고품질의 원심탈수기와 스크류프레스로 여러분의 수처리 솔루션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겠습니다. 우리의 기술력과 노하우가 대한민국 물산업의 발전에 작은 밑거름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풍성한 한가위 되시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변함없는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에이알케이 임직원 일동 올림

    2024-09-13

    2024년 추석 한가위 인사

    2025-08-10
  • 에이알케이 PLC프로그램 개선 프로젝트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4-08-03

    탈수기 전기제어반의 UI/UX개선 프로젝트를 시작하려 합니다.

    에이알케이는 국내 탈수기 대다수의 업체가 소홀했던 탈수기 전기제어반의 UI/UX 개선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현재, 계획수립 이후 개선작업의 기획에 들어 갔으며, 하단처럼 기존 하폐수처리장 및 현장에서 관리자들이 사용하기 어려운 점을 감안해 직관적이고 편리한 UI/UX로 사용성 개선을 서비스하려고 합니다.

    기존 탈수기의 고장진단과 관리자 알림, 설정화면 등 복잡한 화면경로를 간소화 하고 쉬운 메뉴접근을 1차적인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소식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2024-08-03

    에이알케이 PLC프로그램 개선 프로젝트

    2024-08-03
  • جهاز الفصل بالطرد المركزي الشركة الكورية المبتكرة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4-03-20

    شركة تطوير فاصل-الطرد-المركزي

    نقدم لكم ARK، شريك توريد أجهزة التجفيف بالطرد المركزي لمشروع محطة معالجة المياه.

    فاصل-الطرد-المركزي

    Do you know ARKOREA, a sludge dehydrator development company in Korea?

    فاصل-الطرد-المركزي, ARKOREA

    مرحبًا، معكم شركة ARKOREA، وهي شركة رائدة في مجال معالجة نزح المياه في كوريا.

    نحن شركة عالمية تتمتع بخبرة 25 عامًا من الخبرة في كوريا، ومقرها الرئيسي في كوريا، ومصنع في فيتنام، وثلاثة مكاتب في فيتنام، ومكتب فرعي في بكين، الصين.

    واليوم، نود أن نقدم لكم تعريفًا بشركتنا، التي قد لا تكونون على دراية بها في الشرق الأوسط، وتفسيرًا مختلفًا لمعنى نزح الحمأة في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الموضوع الرئيسي للمناقشة هو “سعر وأداء ماكينات نزح المياه من الحمأة بالطرد المركزي” من منظور الصناعات التحويلية والبيئية.

    هل آلة نزح المياه من الحمأة، المصنوعة من مواد ومكونات باهظة الثمن، تنزح المياه بشكل جيد دائمًا؟

    فاصل-الطرد-المركزي, محطة لمعالجة المياه

    في القطاع الصناعي، مجموعة تشكيل الأسعار العالمية هي بشكل أساسي ألمانيا وأوروبا > اليابان > كوريا > دول أخرى.

    تتمتع ألمانيا بتاريخ طويل من الاستثمار في البحث والتطوير لابتكار أفضل المنتجات في العالم، والمنتجات التي لا يستطيع الآخرون صنعها، والابتكارات التي تفرض أفضل الأسعار في العالم.

    وباعتبارها “محدداً للأسعار” في السوق العالمية، فإن التصنيع الألماني يتميز بصناعة أقوى المنتجات وأطولها عمراً وأكثرها متانة من “أفضل المواد”.

    وتتمتع اليابان أيضاً بتاريخ طويل من تكنولوجيا التصنيع التي جعلتها مركزاً قوياً للآلات الصناعية في آسيا وحول العالم.

    ثم هناك بلدنا الأم، كوريا الجنوبية.

    ما مدى معرفتك بالتصنيع الكوري وخصائصه؟

    لطالما صنعت كوريا منتجات ذات نوعية جيدة وبسعر معقول على أساس “فعالية التكلفة” و”القيمة مقابل المال”. ولأسباب جيوسياسية، كانت كوريا مكانًا للغزو والسرقة والحرب مع الدول المجاورة، ولا تمتلك موارد خاصة.

    لذلك، كانت كوريا تستثمر باستمرار في البحث والتطوير، وتصنع منتجات مصنعة من الدرجة الثانية من المواد الخام وتركز على تجارة التصدير. لطالما كانت كوريا الجنوبية تتنافس مع ألمانيا على المركزين الأول والثاني في التصنيف العالمي للبحث والتطوير.

    وتتضح قدرة كوريا على المنافسة السعرية من خلال أداء أسلحتها الدفاعية. فهي أرخص من المنتجات الألمانية، ولكن بسعر معقول مقابل أداء متفوق، وقد وصفت شبكة سي إن إن كوريا بأنها “الدوري الرئيسي” في صناعة الدفاع.

    في حالة آلات نزح الحمأة، تستخدم كوريا مادة SUS، وهي مادة قوية ذات مقاومة للتآكل ضد التآكل ضد الملح ما لم تكن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خاصة جدًا، وتستخدم التنجستن جزئيًا في المناطق عالية التآكل لتوفير القدرة على تحمل التكاليف.

    طبيعتا تاريخ هندسة المياه في كوريا الجنوبية

    هناك طبيعتان من المهندسين الذين يطورون الآلات الصناعية لمعالجة المياه.

    فاصل-الطرد-المركزي, R&D CENTER

    أولاً، مهندسو البيئة الذين يتقنون علم الأحياء المجهرية واكتسبوا الهندسة الميكانيكية.
    جوهر المهندسين القدامى الذين درسوا في اليابان لتعلم هندسة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في المدن وطبّقوها في كوريا. لقد سهروا طوال الليل في دراسة “الموسوعات الميكروبيولوجية” لدراسة الكائنات الحية الدقيقة في محطات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والتي تختلف عن تلك الموجودة في اليابان، وطوروا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في كوريا.

    يعني نزح الحمأة من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الكائنات الحية الدقيقة”. في الوقت الحالي، تجهل معظم شركات المرافق البيئية وشركات الهندسة والمشتريات والبناء “الكائنات الحية الدقيقة”. علم الأحياء الدقيقة هو تخصص يتطلب مستوى عالٍ من فهم علم الأحياء.

    وكلما أصبح العالم أكثر تعقيدًا، أصبحت المعرفة الحالية أكثر خبرة، ويحتاج طلاب الجامعات الحاليون والشباب إلى قدر أكبر من التعلم.

    وقد أصبحت قلة الخبرة والموقف غير الرسمي تجاه علم الأحياء المجهرية هو السائد.

    فاصل-الطرد-المركزي, نقدم لكم ARKOREA، خبير ميكروبي في محطة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ثانيًا، تقوم إحدى شركات الهندسة الميكانيكية ببناء آلة نزح المياه بالطرد المركزي للحمأة وتطبق قدرًا متواضعًا من نظرية نزح المياه.

    تتطلب الهندسة البيئية عددًا لا يحصى من المفاهيم. علم الأحياء المجهرية، والهندسة البيئية، والهندسة الميكانيكية، ونظرية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الخاصة بالصناعة وتطبيقها، إلخ.

    الشركات التي تصنع ماكينات نزح المياه بالطرد المركزي للحمأة هي الأولى أو الثانية من نوعها.

    ما هي الشركة التي تنتمي إليها ARKOREA أعلاه؟

    نحن أول شركة أسسها مديرون تنفيذيون لديهم خلفية قوية في علم الأحياء الدقيقة. ولدينا مهندسون على دراية جيدة بالميكانيكا، كما أننا نقدر أداء الآلات نفسها، ولطالما طرحنا السؤال التالي: “ما هي آلة نزح المياه بالطرد المركزي الجيدة للحمأة مع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بشكل جيد؟

    نحن شركة تتبع الموقع الصناعي الفريد لكوريا.
    وكما هو الحال في جوهر كوريا، نسعى إلى “الفعالية المثلى من حيث التكلفة من خلال المواد المحسّنة المعالجة بشكل جيد”.

    فاصل-الطرد-المركزي, HISTORY

    فنظراً لطبيعة الصناعة البيئية، لا ترغب الشركات في القيام باستثمارات كبيرة في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والمرافق، فهي تريد الحصول على أكبر قدر من الفائدة مقابل ما تجنيه من أموال.

    وقد شهدت شركة ARKOREA عدة سوابق للإقناع.
    كانت هناك حالة تم فيها استخدام آلة ألمانية لنزح المياه بالطرد المركزي للحمأة في محطة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في كوريا الجنوبية.

    هل كانت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ناجحة؟ كلا، ويرجع ذلك إلى الخصائص الطبيعية والجغرافية لـ “سد بالدانغ”، وهو مصدر مياه عذبة، يعاني من “الطحالب الخضراء” من الربيع إلى أواخر الصيف.

    لن تعمل أي كمية من آلات نزح المياه باهظة الثمن بشكل جيد في ذلك الجزء من البلاد.

    وهذا يعني أن الدراية الفنية أكثر أهمية من القوة الميكانيكية للمنتج، وأن تجفيف الحمأة يتطلب خبرة مسبقة في التحليل الميكروبيولوجي والنمذجة التنبؤية للحمأة في محطات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في الواقع، لدينا مصنع في فيتنام ونقوم بتزويد معظم محطات معالجة المياه في فيتنام بآلات نزح المياه بالطرد المركزي للحمأة ذات السعة الكبيرة.

    على الرغم من أنه نفس المعيار في كوريا، هل يعمل نزح المياه من الحمأة بشكل جيد لكل محطة مياه؟
    للأسف، لا، فلدى فيتنام خصائص جغرافية مختلفة، وخصائص مائية مختلفة، وخصائص مياه الصرف الصناعي المختلفة، والعادات الغذائية المختلفة عن كوريا، لذا فإن طبيع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وطرق معالجتها مختلفة.

    وتعني هذه الخصائص في سوق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أن دور “مهندس معالجة المياه” الذي يتمتع بمستوى عالٍ من علم الأحياء الدقيقة والخبرة العملية في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أكبر بكثير.

    وهم الذين يعانون أكثر من غيرهم. إذا كان لديك مهندس كبير يتمتع بخبرة لا تقل عن خمس سنوات من الخبرة، ستعمل المحطة بسلاسة.

    نقدم لكم ARKOREA, الشركات الكورية العاملة في دبي, فاصل-الطرد-المركزي

    تجري ARKOREA أبحاثاً وتطويراً على القيادة الآلية باستخدام الذكاء الاصطناعي.

    يمتلك مهندسو معالجة المياه كتابًا في علم الأحياء الدقيقة في رؤوسهم، ومن الصعب جدًا بالنسبة لهم إجراء أبحاث على الكائنات الحية الدقيقة التي تختلف من موسم إلى آخر.

    كما أنهم لا يتمتعون بالخبرة في عمليات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لكل صناعة و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التي تأتي بشكل مختلف في كل مرة.

    حتى لو حصلت على مساعدة من مجتمع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إذا انتقلت إلى محطة أخرى ل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فلن تكون تجربتك هي نفسها بنسبة 100%.

    وذلك لأن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مجال صعب للغاية مع وجود العديد من المتغيرات.

    في اليابان، تستخدم محطات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بالفعل الذكاء الاصطناعي لتحليل الكائنات الحية الدقيقة في محطة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وتوفير معالجة تنبؤية ل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للعاملين لضمان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البلدية بشكل مثالي.

    وفي كوريا الجنوبية، يتم أيضًا استخدام الذكاء الاصطناعي والبيانات الضخمة في كوريا الجنوبية لإعادة تدوير المياه بطريقة ذكية.

    وتماشياً مع ذلك، يقوم جهاز ARKOREA الخاص بنا بتحليل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الواردة الممزوجة بالبوليمرات، و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الخارجة كسائل نزح المياه، والشكل المتساقط للحمأة المنزوعة في الوقت الفعلي. نحن نبحث في جعل جهاز التجفيف بالطرد المركزي “تحكم آلي عملي” من خلال تشغيل لوحة التحكم الكهربائية ومضخة التغذية من خلال تحليل الذكاء الاصطناعي لأنواع البيانات الأربعة.

    سيكون هذا خبرًا جيدًا للمهندسين في محطات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الذين يتعرضون لضغط كبير.
    سيمنع ذلك الاستهلاك المفرط للمواد الكيميائية البوليمرية، ويقلل من استهلاك الكهرباء، ويقلل من الحمل على آلة نزح المياه من الحمأة، ويقلل من تكلفة طمر ونقل الحمأة التي تستهلكها المدينة.

    ومن المهم أيضاً
    فيما يتعلق “بالقدرة التنافسية السعرية” المذكورة أعلاه، لا توجد قدرة تنافسية أفضل في السوق من حيث “التشغيل الأمثل” مع المنتج “الأقل تكلفة” من آلة نزح المياه بالطرد المركزي للحمأة باهظة الثمن.

    إن جوهر شركة ARKOREA، وهي فلسفة الأعمال التجارية لشركة أنشأها موظفون مدنيون كوريون سابقون درسوا “كتاب علم الأحياء الدقيقة” المذكور أعلاه بين عشية وضحاها، هو “القدرة التنافسية السعرية والتشغيل الآلي العملي”.

    أود أن أسأل المشترين في الشرق الأوسط.
    هل تفهمون جوهر كوريا وجوهر ARK؟
    وأود أن أؤكد على أن المنتجات باهظة الثمن غير المشروطة لا تعني بالضرورة أن تكون مجففة جيدًا.

    إذا كنتم قد فهمتم جوهر شركة ARKOREA وقيمتها المؤسسية، فنحن على استعداد لتقديم آلات التجفيف بالطرد المركزي إلى مصنع المعالجة الخاص بكم في أي وقت، وهي أفضل المنتجات المسجلة كـ “منتجات الشراء المفضلة” من قبل الدولة.

    فاصل-الطرد-المركزي

    ★ مجفف الطرد المركزي متاح لإمدادات الشرق الأوسط والشرق الأوسط

    ينظر

    2024-03-20

    جهاز الفصل بالطرد المركزي الشركة الكورية المبتكرة

    2025-08-10
  • 에이알케이 구정인사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4-02-06

    구정연휴, 안전귀가 하시기 바랍니다.

    에이알케이가 인사올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설 연휴때 가족의 소중함을 느끼시고 무사 복귀하시길 기원합니다. 올 한해 새해에는 좋은 일만 가득하시기 바라며 더욱 더 발전하는 귀사와 수처리인이 되시기도 기원합니다.

    -에이알케이 일동-

    2024-02-06

    에이알케이 구정인사

    2025-08-10
  • 2024갑진년 신년인사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4-01-01
    갑진년 신년인사

    갑진년 신년인사, 청룡의 기운을 받아 값진 것들로 충만하세요.

    안녕하세요, 에이알케이 한국본사와 에이알케이 베트남 일동 120명이 새해 인사를 올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과 안전에 유의하는 한해가 되시기 바랍니다.

    지난 2023년은 대한민국은 물론 전세계는 기후위기와 지속되고 있는 전쟁으로 경제한파를 맞아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전세계 기업들은 힘들고 AI가 불러 일으킨 채용시장의 변화, 급속한 물가상승, 활기 없는 시장 상황에 국민들도 고난의 시간을 걸었지만 희망의 홀씨를 잃지 않고 열심히 달려온 결과 지금의 청룡의 해, 갑진년을 맞아 건강한 기운으로 이렇게 서로에게 인사를 건네고 있습니다.

    용기를 잃지 마시고, 도전을 거부하지 마시고 문제에 직면하도록 몸을 돌리세요.

    수처리 기업으로써 우리 에이알케이의 바람은 첫째도 둘째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전국 20만명의 물산업 종사자 분들의 안전과 건강을 기원하는 바 입니다. 잠깐의 부주의와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는 나태함은 곧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첫째도 둘째도 안전을 지켜주세요.

    아직도 매번 수처리 현장에서 안타까운 소식이 뉴스를 통해 한 두달에 한번쯤은 꼭 발생하고 있습니다. 올한해는 현장에 임하시기 전에 반드시 이 신년인사글을 되뇌어 생각해보시고 안전점검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응원의 메세지와 타산지석의 교훈

    이차전지, 미래비전 성장 산업과 환경기술의 융합에 응원을 보냅니다.

    우리 대한민국은 현재, 국가의 주요 육성 산업이자 공통의 환경적 관심사인 이차전지 산업과 폐배터리 산업에 있어서 고농도 염폐수라는 처리의 문제에 직면 해 있습니다.

    관련 분야 기업들의 성장 비전, 대한민국의 주력 육성 산업에 대한 기대감, 그리고 환경보호.

    세가지가 기업-지자체-정부가 각자만의 방식이 아닌. 같이 참여하는 거버넌스가 필요합니다.

    기업은 성장과 책임을, 정부는 규제와 정책을, 지자체는 감시와 독려와 투자를.

    모두 성공적으로 이뤄 환경 기술의 발전과 국가 산업의 발전으로 신년엔 서로 잘 융합하는 한 해가 되었으면 합니다.

    타산지석의 교훈과 K-WATER의 브랜드화

    가라앉는 인도네시아. 이 문장은 전세계적으로 매우 충격적인 큰 이슈가 되었습니다. 나라가 가라 앉다니요? 그래서 부랴부랴 수도이전을 한다니요?

    마치 재난영화의 한장면 같은 이 상황은 지하수의 지속된 사용이 얼마나 위험하며 담수를 재이용없이 해양방류시 자전축을 흔들 정도로, 그리고 염분농도를 낮춰 해류대순환에도 장애를 일으킨다는게 얼마나 무서운지 보여준 사례입니다.

    이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물재이용’과 ‘지속가능한 물경영’이 주요 당면과제로 자리잡았습니다.

    제주도 또한 지하수가 더이상 나오지 않거나 광주광역시의 물 부족 관련 뉴스를 접해보셨듯 다양한 ‘물사용’문제가 우리 대한민국도 교훈삼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가라앉는 인도네시아의 신수도 이전 관련 다양한 이슈속에 까리안댐 공사와 탄소중립형 정수장 건립.

    우리는 고도의 도시화를 이뤄 선대의 엔지니어링 기술을 이어 받아 이젠 빅데이터로 지능형 물산업을 이뤄 개도국에게 도움을 주는 형태로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우리의 값진 역사의 노력으로 이뤄낸 성과들은 까리안댐 공사라던가 중동의 해수담수화로 시작된 ‘푸른두바이’와 이젠 대한민국보다 2배가량 더 많은 초록의 중동 농경지까지.

    우리의 기술력은 대단해졌지만, 타산지석을 삼을 교훈을 인도네시아에서도 살펴봐야 하겠습니다.

    베트남 또한 인도네시아 지하수 사용에 따른 지반침하를 교훈삼아 대규모 조사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충격적인 가라앉는 국가로 유명세를 탄 인도네시아에 대해 우리는 환경 기술적 성숙도가 높다는 것을 반증하는 동시에 교훈삼아야 할 것입니다.

    자긍심을 갖는 물산업인이 됩시다.

    우리 물산업인들 모두 기후 위기에 맞설 대항마인 환경 기술인이라는 사명을 가지고 그 자긍심을 이어 활약해 주시고 복잡한 수처리와 어려운 설비 문제에도 ‘대단히 뜻 깊은 일을 한다’라는 동기부여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우리 에이알케이 일동은 원심탈수기의 혁신, 그리고 이제 몇 없는 유일무이한 스크류프레스 개발기업 중 하나로써 혁신개발과 최상의 제품공급, 현장에서의 프로페셔널함을 지키는 기본을 다하는 한해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안전과 건강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에이알케이 대표 홍상헌 외 일동 올림


    2024-01-01

    2024갑진년 신년인사

    2024-01-01
  • 이차전지 폐수처리 관련 국내 업체리스트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3-12-30

    이차전지 폐수처리 관련 실무자들이 참고할만한 국내기업들

    이차전지 폐수는 폐수성상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방류시스템이 무조건 적인 답이 아닙니다.

    증발농축은 복잡한 구조와 큰 규모로 매우 고가의 설비이며 모든곳이 필요하진 않습니다.

    무방류는 설계상 물 값이 비싸거나 수원지에서 물 공급량이 적을때 하며, 대체적으로 물 값이 재생 비용보다 적을 때 검토합니다. 또한 재생의무 비율이 대형 건물에 있습니다.

    때문에 무턱되고의 무방류시스템이 답이 아니며 대부분은 중금속류, T-P가 높은 문제입니다.

    이럴 경우 화학적 처리만으로 가능하며, 제조업체와 폐배터리 자원업체마다의 폐수성상과 농도가 다른 경우가 있으므로 반드시 폐수성상 부터 아셔야 합니다.

    첫번째로는 원수분석을 진행하신후 JAR TEST를 진행하시고 거기에 합당한 방지시설을 채택하시면 되나 사업규모가 작고 예산이 부족할 땐 전문 설계시공사를 컨택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사업규모가 크고 생태독성이 걱정이시라면 초기 투자비용이 크더라도 증발농축이 유리하거나 폐수처리장을 따로 만드시는게 유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이차전지 폐수의 생태독성 측정은 첫 단추부터가 어렵습니다.

    생태독성 측정을 위한 물벼룩, 해양생물종에 대한 것은 매우 어려운 분야며, 이에 대한 전문 컨설팅이 필요하실 땐 네오엔비즈에서 다양한 생태독성시험분야 서비스와 컨설팅을 제공하오니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전체적인 염폐수에 대한 JAR TEST부터 폐수처리장 설계 등 전반적인 컨설팅이 필요하시면 수처리 명장 수원성주에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혹은 염폐수 관련 어려움을 겪으실 경우 환경공단의 ‘민관 합동기술지원반’에 문의하셔도 됩니다.

    이차전지 폐수로 고민이 많으신 업체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며, 대한민국의 무거운 어깨에 힘을 보태줄 이차진지의 미래산업에 건승을 드리며 환경보호에도 앞장서는 기업이 되주시길 기원합니다.

    [ninja_tables id=”6494″]

    상기 표는 염폐수에 관련된 ZLD무방류, MVR 등 실무자분들이 검색 해 찾기 힘든 전문 업체 리스트입니다.

    한국환경공단(kepo.co.kr)민관 합동기술지원반 발족에 대한 기사는 여기 를 열람해보시면 됩니다.

    이차전지 폐수처리 관련 업체리스트는?

    주로 ZLD무방류시스템, 증발농축 설비 회사를 찾으시면 되며 국내 업체리스트를 조사해 공유해드립니다.

    염폐수 관련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한국환경공단의 민관 합동기술지원반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이차전지 산업 인사이트 연재시리즈

    Vol.1 새만금 이차전지 폐수정보 인사이트 vol.1 : 보기

    Vol.2 이차전지 염폐수란 무엇인가? ARK환경 : 보기

    Vol.3 리튬채굴과 환경영향평가 – 이차전지 인사이트vol.3 : 보기

    Vol.4 무방류시스템(ZLD)과 이차전지 폐수 – 배경과 장단점 : 보기

    Vol.5 이차전지 폐수처리 관련 국내 업체리스트 : 보기

    2023-12-30

    이차전지 폐수처리 관련 국내 업체리스트

    2023-12-31
  • 2023년, 에이알케이 송년인사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3-12-14

    송년인사, 물산업 관계자 여러분들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송년인사 에이알케이
    에이알케이 송년인사 2023

    안녕하세요, 에이알케이를 믿고 찾아와 주시는 관계자 여러분들.

    에이알케이가 2023년 막바지에 송년 인사를 올립니다. 지난 2019년 12월31일 코로나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된 후 벌써 4년째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그 여파로 여러 산업군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우리 물산업 또한 힘든 시간을 버텨왔습니다.

    국가간 무역교역이 30%가 줄고 새로운 전쟁이 2개나 발발한 지금, 그래도 여전히 물산업의 좋은 소식들은 가장 활발한 산업군 중 하나라는 것을 상기시켜 주고 있습니다.

    불황속에서 세계 물시장의 성장가능성을 되짚어보는 2023년

    환경타임즈에 따르면 세계적인 물산업은 현재 400조대에서 2025년까지 1000조원 규모로 성장할 거란 전망이 있습니다.

    글로벌 물산업은 설계,건설,컨설팅이 약 1690억 달러에서 4850억달러로, 운영관리 서비스는 1930억 달러에서 3800억 달러로 총 1000조대의 시장을 형성한다고 합니다.

    각종 기후변화로 가뭄,폭염이 빗발치고 동시에 폭우, 범람, 산사태가 나타나 물산업은 물의 재이용과 해수담수화 부분이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또한, 고도의 도시화로 슬러지감량 부분에 있어서도 처리비용을 아끼기 위한 고수준의 기술들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세계 물시장에서 85%는 상하수도 인프라, 나머지는 재이용과 해수담수화와 같은 물생산과 물재이용을 통한 낭비제거에 있습니다.

    국내의 물시장과 문제점

    에이알케이는 베트남 공장을 두고 글로벌 실적을 다수 보유했습니다. 폴란드, 아일랜드, 스페인, 러시아, 브라질, 미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아프리카 대륙을 제외 한 모든 대륙에 납품 실적이 있습니다.

    해외 시장에서의 안착과 동시에 한국 본사를 통한 국내의 물시장에서의 업력도 23년차입니다.

    국내 물전문가들이 말합니다. 국내는 상하수도 보급률이 90% 후반을 넘어 포화상태라고.

    안정화 단계를 넘어선 하향산업이라는 국내 물 산업의 주소는 지방소멸의 새로운 난제까지 더해졌습니다.

    국책사업인 4대강 살리기 사업도 끝나 이젠 안정화가 아닌 첨단 지능화를 꾀하는 단계며, 이에 국내 물산업시장의 엔지니어링사들은 경험이 부족한 해외진출에 몰입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이마저도 EPC의 설계-시공-운영부문과는 달리 현지 시장에 적응하는 ‘경험’에 있어서의 인자가 부족해 미흡한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그 동안 국내 물산업의 운영관리가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이뤄진 탓에 자율성이나 기술투자가 부진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며 “결과적으로 선진국 대비 국내 기술력은 정수 80%, 관로 75%, 하수 85% 등 국제 경쟁력이 다소 부족한 상황”이라고 평했습니다.

    공기업이 아닌 일반 기업들이 해외진출을 하는데 부족한 것들은 협력관계 네트워크 구축이며, 이는 곧 업체와 업체간, 공기업과 정부기관과의 동반네트워크를 뜻합니다.

    환경설비 엔지니어링사의 숙명

    우리 에이알케이는 종합탈수기 개발기업으로써 수많은 공공폐수처리장과 정수장에 탈수기를 납품해 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느낀 엔지니어링사의 숙명은 끊임없는 연구개발에 있어서의 탈수기 첨단화였으며 동시에 갈수록 줄어드는 환경엔지니어링의 젊은 인재들, 그에 따른 현장에서의 노하우를 모르는 인원들로 인한 시장 인력난이였습니다.

    환경설비 엔지니어링사들의 공통적인 문제, 바로 인재양성과 수급의 문제.

    젊은 여러분들이 환경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꾸준한 애정과 동기부여로 ‘세상의 문제’를 풀고자 환경기업에 인재가 되주길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Turn towards the problems that you see.’

    영화배우 맷데이먼이 모교 하버드대학교의 연설에서 한 말입니다.

    ‘문제가 보이는 방향으로 몸을 돌리세요.’ 사회와 인류가 처한 ‘문제’에 관심을 갖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뛰어들라고 해석되는 맷 데이먼의 이 동기부여는 환경분야에서 가장 범인류적인 문제의 초석일 것 입니다.

    탄소저감, 기후위기, 지구온난화, 70억의 과밀인구, 고령화, 저출산, 지방소멸 모든것이 혼란스러운 현대의 시대에서 무엇보다 가장 큰 공통적인 문제는 ‘환경’ 입니다.

    젊은 여러분들이 이러한 문제를 인식해 환경엔지니어링에 관심을 가지시고 도전해 주시길 바라는 바입니다. 그것이 꼭 환경엔지니어링의 EPC플랜트에 관련된 것 뿐만 아니라, 마케터,개발자,디자이너 무엇이든 상관 없습니다.

    환경에 대한 문제인식은 곧 여러분과 저희들이 공통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해결해야 하는 첫번째 문제임을 인식하는대서 비롯됩니다.

    정부의 물산업 육성 및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물산업 엔지니어링사들은 제조업과 건설 분야와는 엄연히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산업 자체가 ‘느린’ 분야이며 단기간의 성과가 나오는 것이 아닌 상수도인 물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깨끗한 물을 이용 받는다는 과정에서의 최종 인프라가 늦게 완성됩니다.

    상하수도망 건설, 정수장 건설, 폐수처리장 및 이를 재이용하는 여러 인프라 자체가 성격이 다르며 이들이 통합되었을 때 시민들은 깨끗한 물을 제공받고 운영에서 이윤이 생기는 거대한 산업이기 때문입니다.

    물 산업은 20~30년간의 초장기간 시설물 운영이 필수입니다. 운영비에 대한 투자비와 이윤 회수가 이처럼 장기간인 산업분야입니다.

    때문에, 물산업은 일반 사기업, 중소기업들이 좋은 기술만 있다고 성과가 나오거나 해외 진출의 성공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이는 곧 ‘물 산업 육성 및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처럼 정부와 공기업이 사기업에 대한 꾸준한 애정과 관심, R&D, 국가간 MOU와 펀드조성, ODA지원 확대, 컨소시엄 구성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우리 엔지니어링사와의 통합체를 구성해야 합니다.

    에이알케이의 신년다짐

    에이알케이는 탈수기 개발기업으로써 제품혁신을 게을리 하지 않아 왔습니다.

    더욱 더 정밀엔지니어링을 추구해 그 어떤 폐수와 슬러지에도 최적화 된 원심탈수기 개발과 국내에서 단 세손가락에 드는 스크류프레스 탈수기 개발기업으로써 새로운 혁신개발을 이어갈 것을 약속드립니다.

    또한 앞서말한 맷데이먼의 말처럼 ‘문제가 있으면 몸을 돌리라’는 말처럼.

    현 시장에서의 문제점인 ‘Sludge Experience’ 폐수와 슬러지 경험이 부족하며 젊은 인재유입이 없는 이시장의 문제를 해결코자 AI를 통한 ‘공동의 문제’인 슬러지 경험부족과 폐수에 최적화 된 탈수기 운영과 함수율에 따른 최적운전에 관한 연구개발을 이어갈 것입니다.

    또한, 해외 프로젝트를 진행중 인 대기업들과의 꾸준하고도 구체적인 협업 프로젝트.

    국내 이차전지 폐수에 최적화 된 원심탈수기 공급 등 국가적인 공동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노력도 진행하겠습니다.

    에이알케이의 송년인사

    에이알케이는 다사다난했던 2023년을 보냈습니다.

    가장 유의미했던 세가지는

    1. 국가물산업클러스터에 입주해 해외수출형 공동기술개발과제 수행기관 선정.
    2. 이로 인한 송다정수장 원심탈수기 개발/납품
    3. 한국컨소시엄 구성

    국내 물시장에서의 23년간의 업력, 그리고 해외시장에서의 활약. 값지고 설랜 이 시간들을 내년 2024년에도 이어갈 예정입니다.

    물산업의 해외진출, 에이알케이가 베트남 허브기지를 통해 원활한 탈수기 공급을 약속드리며 열린 기업정신으로 귀사의 프로젝트에 임하겠습니다.

    올 한해 수고 많으셨으며, 모든 물산업 종사자 관계자 여러분들의 무사 안녕과 물산업인으로써의 사명감을 잃지 마시고 신년에도 건강한 한해를 보내셨으면 합니다.

    2023-12-14

    2023년, 에이알케이 송년인사

    2023-12-14
  • 두부폐수처리, 갈수록 늘어나는 두부소비량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4-10-10

    두부폐수 처리정보와 두부제조산업의 성장

    두부 수출과 두부폐수

    서론 : 두부소비, 북미와 유럽 소비 늘어

    두부폐수처리

    안녕하세요, 에이알케이 전소희 매니저입니다. 오늘은 두부폐수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먼저, 두부산업에 대해 짧막하게 논해보자면, 두부는 전세계적으로 웰빙푸드로 각광받으며 연평균 10.8%의 성장세를 달리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과 미국의 소비량이 많이 늘었습니다.

    최근, CJ제일제당의 비비고 만두가 미국에서 대히트를 치고 대한민국의 중소기업 냉동김밥이 품귀현상을 겪는 일을 보셨을겁니다.

    이처럼 더이상 아시아의 음식들은 더이상 아시아만의 음식이 아니며 미국과 유럽에도 전파되어 일상화 음식이 되어가는 실정이며, 비건열풍이 불어 웰빙푸드의 역할과 초고도비만으로의 탈출을 시도하는 미국과 캐나다의 그림에 두부 또한 그 중심에 있습니다.

    다음은 상기 보고서에 의한 두부시장의 리서치 조사의 요약입니다.

    • 2022년 최대 두비 소비대륙 : 유럽
    • 북미지역 : 전세계적으로 두번째로 큰 두부 소비국 / 식물성 단백질에 대한 투자 계속과 비건족 증가
    • 주요 시장 점유 기업
    1. 하우스푸드그룹
    2. 깃코만
    3. 모리나가 유업
    4. 풀무원
    5. 비타소이

    우리나라의 경우 풀무원과 CJ제일제당이 미국 생산시설을 늘리며 전세계적인 K-푸드 열풍을 선도하며 비비고와 같은 브랜드 외에도 두부 또한 다양한 조리법과 제품으로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풀무원의 경우 미국내 두부생산라인에서 월 생산량을 2배로 늘렸다는데서 서양식문화에서 아직은 생소한 두부가 수요가 늘고 있음을 반증합니다.

    풀무원과 cj제일제당의 두부제조

    콩은 식품반도체라 불릴 만큼 매우 값진 재료로 상기 시장 조사보고서에 따른 미래 주요식품원으로써의 가치는 식물성 단백질 + 비건의 일상화로 더욱 빛날것이라고 전망받습니다.

    최근들어,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밥의 양은 줄이며 탄수화물보다는 단백질을 섭취하려는 웰빙푸드가 대세로 되며, 두부조리를 소개하는 레시피들이 유튜브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는것은 쉽게 미디어에서 접할 정도입니다.

    보다 상세한 두부시장의 리서치 자료는 <여기>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이에 우리는 두부폐수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두부폐수처리 정보, 에이알케이

    본론 : 두부폐수의 성분과 처리공정

    두부제조 공정

    두부제조의 공정상 세척-침지-응고폐수 등이 발생

    두부제조공정과 발생폐수, 폐수성분
    두부폐수 처리공정도

    스크린+가압부상+활성슬러지법

    두부폐수 주요성분

    두부 제조 공정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독성물질은 없으나 단백질(BOD성분)이 주요 요소입니다.

    때문에 두부폐수 = 고농도 유기계 폐수이며, 무단방류시 썩는 냄새를 심하게 내 주민들의 반발을 사게 됩니다.
    두부제조시 응고제에는 무기계와 유기계가 사용되며 무기계로는 ‘간수’가 있습니다. 간수의 주성분은 염화마그네슘으로 콩 단백질을 응고시켜 두부를 만들게 되기에 적절한 처리가 필요합니다.

    순물의 경우, 두부에 압력을 가했을 때 나오는 물로 영양성분이 포함된 물이자 여성호르몬에 도움이 되는 성분을 지니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영향성분으로 인해 폐수에 곰팡이가 피기도 하여 각종 민원사고가 많은 부분이기에 반드시 관련 환경법령을 숙지하고 폐수처리를 해야 합니다.

    두부폐수에 대한 물환경보전법

    물환경보전법과 하수도법의 1일 폐수량 제외는?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6조 및 별표4
    출처 : https://www.law.go.kr/법령별표서식/(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20240101,별표4)

    두부폐수 관련 물환경보전법

    1. 폐수배출시설 적용기준
    가. 생략
    2) 생략
    가) 1일 최대 폐수량이 20세제곱미터 이하로서 광유류(석유 등 광물성 원료로부터 얻어진 기름)가 포함되지 아니한 폐수를 하수도법 제2조제9호 및 제13호에 따른 공공하수처리시설 및 개인하수처리시설로 유입하는 경우

    나. 가목에서 1일 최대 폐수량은 연중 폐수가 가장 많이 발생되는 날을 기준으로 사업장의 모든 시설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합산하여 산정하고, 위탁처리ㆍ재이용하거나, 폐수배출공정 중의 방지시설에서 처리되는 폐수를 모두 포함하여 산정하되, 다음의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1) 두부 및 떡 제조시설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하수도법 제2조제9호 및 제13호에 따른 공공하수처리시설 및 개인하수처리시설로 유입시키는 경우에는 두부 및 떡 제품을 식히거나, 담근 폐수를 1일 최대 폐수량에서 제외한다.

    두부폐수 처리공정도

    스크린+가압부상+활성슬러지법

    두부폐수처리공정
    • 스크리닝: 큰 고형물을 제거합니다.
    • 균등화: 폐수의 성상을 균일하게 만듭니다.
    • 응집/응결: 화학약품을 첨가하여 작은 입자들을 뭉치게 합니다.
    • 부상분리: 기포를 이용해 부유물질을 제거합니다.
    • 생물학적 처리: 미생물을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합니다.
    • 침전: 고형물을 가라앉힙니다.
    • 여과: 남은 부유물질을 제거합니다.
    • 방류: 처리된 물을 방류합니다.
    두부폐수처리 공정도

    두부폐수처리의 주요공정은 무엇인가요?

    스크린+가압부상+활성슬러지법이 주로 사용되며, 소규모공장의 1일 폐수가 적은 경우가 아닌 많은 경우 오탁이 많은 경우 아래와 같은 구조가 사용되며 다른 공정 또한 가능합니다.

    두부폐수의 주요 성분은 무엇인가요?

    단백질계이며 순물에는 다양한 영향성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두부폐수는 고농도 유기계폐수입니다.

    두부폐수에 관련된 물환경 보전법은?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6조 및 별표4를 참고하시면
    출처 : https://www.law.go.kr/법령별표서식/(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20240101,별표4) 두부 및 떡 제조시설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하수도법 제2조제9호 및 제13호에 따른 공공하수처리시설 및 개인하수처리시설로 유입시키는 경우에는 두부 및 떡 제품을 식히거나, 담근 폐수를 1일 최대 폐수량에서 제외됩니다.

    ※ 에이알케이 스크류프레스 : 보기

    2024-10-10

    두부폐수처리, 갈수록 늘어나는 두부소비량

    2025-08-10
  • 제지 자원재순환 사례 – 무림피앤피,한솔제지,전주페이퍼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4-09-23

    제지 자원재순환의 가치 – 무림피앤피,한솔제지,전주페이퍼의 사례

    제지 자원재순환 - 흑액의 가치
    제지 자원재순환 - 무림피엔피, 한솔제지, 전주페이퍼

    에이알케이의 환경매거진, 1편 이차전지에 이은 2편으로 펄프폐수의 처리와 자원재순환 vol.2로 흑액과 자원재순환에 관해 기재합니다.

    먼저, 지난시간에 이어 폐수처리 공정에 대해 논했으나 리마인드차 흑액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면.

    흑액(Black liquor)은 제지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 목재 펄프화 과정 중에 생성됩니다. 흑액에는 리그닌(lignin), 헤미셀룰로스, 유기산, 무기물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리그닌은 목재 세포벽에서 셀룰로오스를 결합하고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는 주요 성분으로, 펄프화 과정에서 셀룰로오스를 분리할 때 흑액에 녹아 들어가게 됩니다.

    따라서, 흑액에 리그닌이 포함되어 있지만, 흑액 자체가 리그닌은 아니며, 여러 성분이 섞여 있는 혼합물입니다.

    ‘제지/펄퍼는 1톤을 생산하기위에 물100톤을 소비하는 산업’이라는 말이 있듯, 에너지와 물소비가 많아 온실가스 발생이 많은 분야이나 폐수-폐열의 재활용이 50%이상으로 발전한 분야라고도 말씀드렸습니다.

    이에 구체적인 사례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국내 펄프산업의 자원재순환 사례

    스팀과 전력으로 자원재순환되는 흑액, 신소재개발의 기술력

    무림피엔피의 흑액 자원재순환

    제지 자원재순환 - 국내 기업들의 노력

    ※ 상기 이미지는 AI로 연출된 사진으로 제지/펄프기업과는 무관함을 밝힙니다.

    무림피앤피(무림P&P)의 흑액 자원재순환과 신소재 성과

      1.울산공장에서의 흑액활용 바이오매스 연료 – 공장의 전기생산은 어떻게?

      무림피앤피의 공정은 펄프-제지의 일관화 공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앞선 vol.1의 다양한 펄프제조 공정에서 ‘표백화학공정’을 사용하는 기업으로 목재칩을 사용하며 흑액을 배출하고 이를 재활용하는 기업입니다.

      재생용지는 각종 재생이 가능한 식품용기를 재활용하기에 목재칩을 건조-화학공정을 거치지 않으나 목재칩으로 부터 가공하는 펄프공정은 제조방식이 기업마다 상이하나 무림피앤피는 공정상 목재칩을 건조하고 표백하기에 여기에 사용되는 LNC등의 오일 에너지원을 소모하지 않습니다.

      2.무림피앤피의 자원재순환 데이터 지표

      무림피앤피의 연간 85만톤의 목재칩 원료로 사용하며 절반가령인 45만톤을 천연펄프로 생산합니다.

      그렇다면 흑액은 얼마나 나올까요? 75만톤 가량이며 이 흑액을 활용해 스팀은 83%인 62.2톤 / 17%인 12.7톤은 전기로 자원재순환 합니다. 이로 인한 낭비제거 비용은 1,680억이라고 합니다.

      즉, 목재칩을 펄프로 가공할 때 분리되는 흑액의 리그닌과 셀룰로우스를 분리하고 소각될 수 있는 흑액성분 자체를 다시 보일러로 재활용하기에 오일이나 가스등의 원료구매비용이 현저하게 낮아지기에 자원재순환을 하고 있는 것 입니다.

      이는 약87만톤의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가져온다고 합니다.

      vol.1에서 말한 리그닌 분리를 하는 최종적인 목적은 종이의 실제 원료인 셀룰로우스를 추출가공함에 있다고 설명드렸으며, 전세계적으로 수년전부터 R&D 연구가 활발한 나노산업과 연관되어 ‘나노셀루로우스’가 큰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다고도 말씀드렸습니다.

      무림피앤피의 신소재 R&D성과로 태어난 신제품들

      1.나노셀룰로우스(CNF) : 코스메틱,필름,우주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가능성이 있는 나노분야 제품

      2.CellRimⓇ : 목재+플라스틱의 생분해성 친환경 플라스틱
      Wood Particle(WP:톱밥부산물 가공) + Pulp Flake(셀룰로우스 마켓펄프를 파우더로 가공)

      이처럼 무림피엔피는 흑액의 자원재순환에서 외국의 제지기업들의 기술력에 밀리지 않을 정도의 에너지 자원재순환 기술과 신소재분야의 R&D성과로 태어난 다양한 제품들이 존재하는 환경선도에 앞장서는 기업입니다.

        출처 : https://www.moorim.co.kr:13002/product/nano.php?conarea


        재생용지 자원재순환의 강자, 다양한 기관-기업-민간과 실시

        한솔제지의 자원재순환, 다양한 기업과 동반 실시

        한솔제지는 한솔그룹 산하의 계열사로, 한솔은 환경사업본부에 환경엔지니어링 EPC사업과 케미컬과 IT, 유통까지 총망라하는 기업입니다. 때문에, 자원재순환에 있어서 환경기업으로써의 다양한 높은 기술력 수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솔제지 또한 자원재순환을 일상화하고 에너지로 자원재순환을 하고 있습니다. 한솔은 ‘한솔홈데코’라는 사업을 하는 1000대 기업에 속하는 인테리어 자재 제조를 하고 있으며, 이때 가구로 인한 폐목재가 발생합니다. 뿐만 아니라, 각종 플랜트사업을 통해 다양한 방면으로 제지산업에서의 ESG를 추구하는 기업으로, 프랑스에 본거지를둔 EcoVadis에게 골드등급을 수여 받았습니다.

        EcoVadis는 글로벌 클라우드 기반 SaaS 플랫폼을 통해 기업의 총체적 지속가능성 평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평가는 환경, 노동 및 인권, 윤리, 지속가능한 조달의 영향을 포함한 광범위한 비금융 관리 시스템을 대상으로 합니다. 각 기업은 자사의 규모, 위치 및 산업과 관련된 중요한 이슈에 대해 평가를 받습니다.

        또한, 능률협회 주관의 평가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으로 선정되기도 해 한솔제지는 경영에서의 환경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한솔제지의 제지관련 자원순환사례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데코홈의 폐목재를 자원재순환해 에너지를 충당하며 이는 약 59억원의 절감효과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2. B2B고객들인 여러 고객사의 재생용지를 수거하는 ‘CO-ECO’ 업무협약을 통해 다양한 자원재순환 사업을 진행합니다. 멸균팩을 재활용 해 백판지 원료사용, 플라스틱 팔레트 원료 사용이 대표적입니다.
        3. 한솔ME는 물산업 폐수처리 플랜트를 EPC하며 다양한 기술력을 보유했습니다.

        한솔제지는 환경플랜트 EPC능력과 화학기술력 등을 보유한 기술기업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한솔제지는 지자체-B2B업무협약-민간과 함께 자원재순환을 실시하는 가장 적극적인 기업입니다. 이들과 함께하는 기업들은 수도 없이 많아 실천하는 자원재순환에 있어 적극적인 모습으로 많은 찬사를 받고 있습니다.

        한솔제지의 주요 친환경 제품과 신소재

        1. 테라바스 : ‘자연을 담는 용기’라는 제품. 플라스틱 계열의 PE(폴리에틸렌) 코팅을 대체하는 수용성 코팅액을 적용
        2. 듀라클 : 나노셀룰로우스 제품. 코스메틱,의료,스포츠,자동차,화학 등에 적용

        가상 친환경전시관 https://www.hansolexhibition.com/


        전북지역 최초의 녹색기업

        전주페이퍼의 바이오가스 발전

        전주페이퍼의 친환 바이오가스 발전

        전주페이퍼는 앞선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1965에 세한제지로 시작한 유서깊은 기업이며 현재는 세아그룹에 편입되었습니다.

        전주페이퍼는 폐수처리 설비에서 바이오가스 발전을 실천하는 기업으로 공식홈페이지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vol.1에서 설명한것 처럼 펄프제조공정은 탈황이 들어가며 이에 탈황시설이 필요하며 스팀과 전력에 재사용하는 자원순환을 실시합니다.

        폐수처리 공정에 친환경 신기술 적용을 통한 폐수정화 및 바이오가스 발전 (Biogas 활용과 친환경 전력생산)

        원료생산 설비에서 발생된 폐수를 자연 생태계에 서식하는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친환경 폐수처리를 실시하고, 폐수처리 공정에서 발생한 바이오가스(메탄)를 이용 전력을 생산함으로써 세계적인 저탄소 녹색성장 및 기후변화 정책에 적극 동참하고 있습니다.                

        기존 폐수처리 생물학적 방법은 호기성 미생물로 분해시키는데, 기존 공정에 친환경 신기술(혐기성 미생물 처리) 공정을 추가하여 바이오가스(메탄=LNG) 발생 및 바이오가스 발전설비를 통해 친환경 전력을 판매하고 신재생에너지 인증서(REC)를 부여받고 있습니다.        

        출처: 전주페이퍼 https://jeonjupaper.com/productionprocess

        전주페이퍼의 환경인증

        제지업계 최초, 전북지역 최초 녹색기업 지정


        딜레마와 극복노력

        B2C의 인식 중요성, 환경기술에 대한 R&D 투자

        딜레마와 극복노력

        제지펄프 산업은 B2C의 성향보다 전통적인 B2B사업에 가깝습니다.

        vol.1에서의 설명처럼 사무용 종이는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폭발적으로 줄어왔습니다. 반면,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e-Commerce의 성행과 식음료 프랜차이즈에서의 친환경 정책으로 인한 재생가능한 종이의 고급화 등으로 제지기업들은 B2B에 있어서 친환경기술을 앞세워 고도화 전략을 수행합니다.

        제지산업 자체가 소비되는 제지, 소모되는 제지를 만드는 것이기에 전세계적으로 제지-펄프 기업들의 매출이나 영업이익은 흔들려 왔으나, 이젠 B2B도 신경쓰는 추세입니다.

        고객들에게 환경친화적인 기업으로 거듭나는 브랜드 마케팅, 그리고 기술적으론 에너지소모가 많은 분야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플랜트 설비에서의 흑액과 자가발전 설비를 통한 스팀-전력 재사용이 있습니다.

        그리고 아직은 기술개발을 통한 상용화와 원가절감, 대량생산과 응용분야의 확대를 꾀하는 ‘나노셀룰로우스’에 대한 여러가지 가치발견에 대한 숙제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앞서 설명한 국내의 기업들의 사례에서 보듯, 높은 수준의 환경기술력과 플랜트사업, 발전설비에 대한 고도화 기술력을 갖춘것은 그만큼 대한민국의 제지-펄프 산업의 수준은 ‘경지’에 올랐다고 평해도 될 정도입니다.

        폐수재활용과 흑액재활용을 통한 국내 제지펄프 제조기업들의 자원재순환 활동과 환경보호활동, 지역사회공헌 활동에 깊은 감사를 드리는 바 입니다.


        연재시리즈

        vol1. 펄프폐수 처리 정보와 나노 셀룰로우스 보기

        2024-09-23

        제지 자원재순환 사례 – 무림피앤피,한솔제지,전주페이퍼

        2025-08-10
      1. 펄프폐수 처리 정보와 나노 셀룰로우스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4-08-21

        펄프폐수의 처리가 중요한 이유

        제지폐수와 나노셀룰로우스, 바이오항공유

        안녕하세요, 에이알케이 전소희 매니저입니다. 리튬-이차전지 연재 콘텐츠에 이어 오늘은 플라스틱 대체부터 나노셀룰로우스라는 전세계적 R&D 배틀을 이어가는 제지산업에 대해 연재합니다.

        폐수처리 정보를 시작으로 리그닌과 흑액의 자원재순환 사례까지 연재를 다루려 합니다. 다음 구성으로 연재를 이어갈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펄프제조 프로세스와 펄프폐수 발생 공정

        제지폐수 펄프폐수의 처리

        주요 처리방식

        응집침전, 가압부상, 활성 슬러지법 등이 사용됩니다.

        제지펄프 생산은 리그닌 분리시 흑액이 발생하며 BOD가 너무 높아 대중적이고 일반적인 수처리 방식으론 처리가 안됩니다. 기존에 흑액을 모아 연료 사용 혹은 나일론 원료 등의 산업에 자원재순환을 했지만 최근엔 다양한 연구개발로 점차 흑액의 자원재순환 가치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아래는 현탁물이 가라앉기 쉬운 경우에 해당하는 가장 일반적인 제지펄프폐수의 처리방식으로 응집침전 혹은 가압부상과 유기물 처리를 위한 생물처리를 조합하는 방식입니다.

        가압부상조의 경우 황산알루미늄/폴리염화알루미늄으로 pH를 8정도 가량으로 맞춘후 부상 플록을 슬러지탱크에 보낸 후 폭기조에서 생물처리를 하게 됩니다.

        제지폐수 펄프폐수의 처리 프로세스와 설비공정

        제지폐수와 자원재순환

        ‘종이1톤을 생산하는데 물100톤이 필요하다’ 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A4로만 생각하시던 제지 및 펄프 제품은 우리 생활속에서 플라스틱만큼이나 아주 쉽게 만날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생분해성’의 기술까지 나왔지만 미세플라스틱의 환경영향학적, 생체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고 나무가 주는 이미지에 비해 환경에 좋지 않다는 인식이 지배적입니다.

        우리가 아는 제지-펄프 산업은 많은 양의 물과 열에너지를 사용하며, 폐열-폐액을 자원순환함에 있어 그 효율은 상당수준으로 올라와 있고 더 나아가 나무의 단단함을 유지시켜주는 리그닌과 제지펄프에 실제적으로 쓰일 셀룰로우스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흑액 또한 소각연료로 쓰며 분리된 리그닌 또한 전세계적으로 이를 자원재순환해 새로운 바이오연료를 생산하는 연구개발과 ‘나노셀룰로우스’를 얻으려는 기술을 연구중입니다. 때문에 나무는 아낌없이 버릴게 하나도 없는 친환경 그자체입니다.

        제지펄프의 폐수처리도 굉장히 중요하나, 폐수처리를 넘어선 자원재순환에 있어 가장 주목받는 것은 리그닌과 셀룰로우스 보다 나노셀룰로오스 기술력 육성입니다.

        나노셀룰로우스를 세계적인 기술을 선도하는 나라는 캐나다, 일본과 핀란드, 노르웨이 등 이며, 이들은 제조 기술과 연구 개발(R&D)에서 앞서고 있습니다. 주요 기업으로는 캐나다의 Kruger Inc., 일본의 Nippon Paper Group, 노르웨이의 보레가르드, 영국의 Fiberlean Technologies 등이 있습니다. 캐나다는 나노셀룰로스 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로 자리 잡고 있으며,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또한 무림피앤피가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연재시리즈는 1편은 제지-펄프 폐수처리로 시작하나 나아가 국내의 자랑스러운 제지펄프 제조사들의 자원재순환적 노력과 나노셀룰로우스 관련 인사이트를 제공해 환경적인 talk를 여러분들과 나눔에 있습니다.

        먼저,국내 주요 제지,펄프 업체는 백판지 산업의 한솔제지, 깨끗한나라, 한창제지가 인쇄용지 제조는 한솔제지, 무림페이퍼, 무림P&P 등이 있습니다.

        세계적인 명품제지 반열에 오른 국내 기업들의 우수한 실적과 더불어 기술력과 경쟁이 심한 업종이기도 합니다. 과거 A4만 떠오르던 시절의 제지가 아닌 이젠 친환경적이며 ESG경영에 크게 한몫하면서도 E-커머스 성장과 더불어 중요한 일상 생활 소비재가 되었습니다.

        서론 : 제지-펄프 제조산업 팬데믹 이후 수요와 고급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유통의 급성장은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특히, 온라인 쇼핑 시장과 배송 시스템이 확대되면서 소비자들의 구매 방식이 크게 변화했습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백판지의 수요가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기존 인쇄용지는 디지털의 1인 1디지털 기계보급으로 전세계적으로 생산량이 줄었지만 택배상자나 감열지 등에 쓰이는 이커머스용 제지시장은 늘었습니다.

        백판지는 제과, 제약,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급 포장재로 사용되며, 제품의 품질을 한층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2020년에는 매출이 약 1,895억 원에 달해 전년 대비 6.7% 증가했으며, 2021년에는 2,044억 원으로 7.9% 상승, 2022년에는 2,273억 원으로 11.2%나 증가하며 이렇듯 아낌없는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품질 높은 포장재를 원하게 된 결과로 분석됩니다.

        현재 백판지는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플라스틱 대체재로서의 역할을 더욱 강조받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시장 전망은 매우 긍정적이며, 지속 가능한 패키징 솔루션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렇기에 늘상 사용되는 종이,제지,펄프 소비재는 폐수처리에 대한 관심도 중요합니다.

        대한민국 제지산업의 2020년대 이후 근황

        제지산업, 2020년 이후 뚜렷한 성장세, 폐수처리도 중요한 분야로 인식

        대한민국의 제지펄프산업은 2020년 이후 뚜렷한 성장을 경험하였으며, 이는 아래 요인에 기인합니다.

        • 첫째, 2020년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위생용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산업 성장이 촉진되었습니다. 많은 소비자들이 의료용 및 개인 위생에 신경을 쓰게 되었고, 이에 따라 화장지, 키친타올 등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위생용품의 수요가 상승했습니다.
        • 둘째, 제지펄프산업의 매출액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2020년에는 약 5916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였고, 그 이후로도 매출 증가가 이어졌습니다. 특히 2021년과 2022년에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과 혁신을 통해 기업들이 재정적인 성과를 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는 업계에서 친환경 제품의 개발 및 생산 체제를 강화한 결과로 평가됩니다.
        • 셋째, 전체 산업 대비 제지펄프산업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다양한 포장재와 용지 제품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제지 산업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습니다. 포장재와 일회용품의 사용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며, 특히 e커머스의 성장이 제지 업계의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넷째, 해외 수출 규모 또한 증가하였습니다. 2022년에는 인쇄용지를 포함한 다양한 제지 제품이 해외 시장에 진출하면서 수출 비중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아시아 및 유럽 시장에서의 수출이 활발히 이뤄졌으며, 이는 기업들이 국제적으로 입지를 넓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제지제품의 수출은 2020년에 비해 30% 이상 성장했으며, 이는 향후 전망에 긍정적인 시그널로 작용하고 있습니다.마지막으로, 제지펄프산업의 기업 수는 다소 증가세를 보였으나, 시장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일부 기업들은 경영의 어려움을 겪기도 했습니다.
        • 신규 진입자들의 등장은 시장의 다양성을 증대시키는 요소가 되었으며, 산업 전반에 걸쳐 제품 품질 개선과 고객 서비스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결론적으로, 대한민국의 제지펄프산업은 팬데믹 이후 회복세와 함께 성장 모멘텀을 유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 가능성과 혁신을 중심으로 한 발전 가능성이 기대됩니다.

        본론 : 제지-펄프 제조산업의 키는 리그닌과 셀룰로우스의 화학적-기계적 분리 혹은 재활용폐지 사용

        종이,펄프제조시 ‘셀룰로우스’의 중요성

        종이,펄프 제조업은 셀룰로우스를 추출하는 목적 존재.
        종이,펄프 제조의 50%를 담당하는 성분

        셀룰로오스는 종이와 펄프 제조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활용도는 산업 전반에 걸쳐 확장되고 있습니다. 셀룰로오스에 대한 이해는 제지 및 펄프 산업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아래에서 셀룰로오스의 역할과 사용처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셀룰로오스의 역할

        1. 주성분으로서의 기능
          • 셀룰로오스는 주로 목재 펄프에서 추출되는 고분자 물질로, 종이 및 펄프의 기본 성분입니다. 목재의 주 성분인 셀룰로오스는 종이의 물리적 성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고품질의 종이를 생산하는 데 기여합니다.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높을수록 더 강인하고 질 좋은 펄프가 생산됩니다.
        2. 구조적 기여
          • 셀룰로오스는 섬유 형성 물질로, 펄프를 구성하는 세포 구조를 형성합니다. 이 구조는 최종 제품인 종이의 강도, 내구성, 텍스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제지 공정에서 셀룰로오스를 적절하게 처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3. 화학적 변형 가능성
          • 셀룰로오스는 다양한 화학 반응을 통해 고유한 특성을 가진 에스터 및 에터 유도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적 변형은 셀룰로오스의 활용 범위를 확대하여 식품 포장재, 의약품의 부형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게 합니다.

        사용처

        1. 종이 제품
          • 셀룰로오스는 종이, 판지, 카드 스톡의 주요 성분으로 사용됩니다. 이들 제품은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종이 산업에서 중요한 자원입니다.
        2. 섬유 산업
          • 셀룰로오스는 레이온과 같은 섬유로 변환되기도 하며, 이는 면이나 리넨 같은 자연 섬유와 결합하여 사용됩니다. 레이온은 20세기 초부터 사용된 중요한 섬유로, 셀룰로오스를 기반으로 중요한 직물 제품으로 활용됩니다.
        3. 고유한 신소재
          • 최근 몇 년 간 나노셀룰로오스와 같은 파생물질이 개발되며 자동차 내장재, 건축 자재,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응용되고 있습니다. 나노셀룰로오스는 생분해 가능하며,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뛰어난 특징 때문에 ‘제2의 탄소섬유’로 불리기도 합니다.
        4. 새로운 응용 분야
          • 셀룰로오스는 합성 섬유에 대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환경 친화적인 제품을 추구하는 소비자 수요 증가에 따라 중요한 자원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또한, 의학, 전자제품, 포장 산업 등에서도 사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제지폐수의 셀룰로오스와 리그닌

        목재 > 제지펄프를 생산시 버리는 리그닌은?

        버려지는 보물, 리그닌의 화려한 변신! ✨

        여러분, 나무의 단단함을 유지하는 비밀, 알고 계신가요? 바로 ‘리그닌’이라는 친구랍니다. 셀룰로오스와 함께 나무의 주성분을 이루는 리그닌은 나무에 단단한 뼈대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죠.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가 흔히 쓰는 종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 리그닌을 제거해야만 해요. 셀룰로오스만 쏙 빼내서 부드러운 펄프를 만들어야 종이가 탄생하니까요. 그래서 오랫동안 리그닌은 단순히 버려지는 물질 취급을 받았어요. 복잡한 구조 때문에 활용하기 어려웠거든요. 매년 전 세계적으로 어마어마한 양의 리그닌이 버려지고 있었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리그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놀라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어요! 버려지던 물질이 이제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보물로 떠오르고 있답니다. 리그닌을 활용해 다양한 제품을 만들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실제로 상용화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어요.

        그럼 리그닌으로 어떤 것들을 만들 수 있을까요? 나일론 원료와 바닐린-일산화탄소 등의 연료산업에 활성화 됩니다.

        #리그닌 #친환경 #바이오매스 #지속가능한발전 #새로운소재

        제지-펄프 제조방식의 종류와 차이

        화학펄프

        • 화학펄프 : 목재칩을 리그닌과 셀룰로우스로 분리하기 위해 화학물질을 사용하며 주로 알라리성계 물질은 수산화나트륨과 황화나트륨을 사용해 셀룰로우스를 추출합니다. 때문에 앞서 설명한바와 같이 리그닌 분리를 하기에 리그닌성분 폐수와 황화화합물 폐수가 발생합니다.

        기계펄프의 종류와 특징

        1. 쇄목 기계펄프 (Grinding Wood Pulp)
          • 특징: 목재를 통째로 사용하고, 강한 압력을 가하여 분쇄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섭씨 70~75도의 온도에서 진행되며, 수율이 약 98.5%로 매우 높습니다. 하지만 리그닌 함량이 높아 종이 품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용도: 주로 신문용지, 저급 잡지, 화장지 및 벽지에 사용됩니다. 불투명도와 두께를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이지만 내구성은 낮습니다.
        2. 리파이너 펄프 (Refiner Pulp)
          • 특징: 리파이너라는 기계를 사용하여 섬유화하는 과정이며, 높은 전단력이 적용되어 칩을 분쇄합니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회전하는 원반 간의 좁은 틈(gap)을 통해 칩을 물리적으로 처리합니다.
          • 효율성: 다단계로 연속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 의도한 섬유 길이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3. 압력쇄목 기계펄프 (Pressure Grinding Wood Pulp)
          • 특징: 압력을 가한 후 세척 과정을 거친 목재를 사용하여 펀칭하는 방식입니다.
        4. 열쇄목 기계펄프 (Thermal Grinding Wood Pulp)
          • 특징: 약 80도씨의 물과 증기로 열을 가하여 가공하는 방식으로, 펄프의 물리적 성질에 변화를 주어 더욱 효과적인 섬유화를 가능합니다.

        폐지 재활용 펄프

        버려지는 폐지를 재활용해 만드는 방식으로 물에 담궈 사용하기에 각종 이물질, 인쇄된 잉크, 풀, 금속 스템플러,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이것들이 포함된 폐수가 나오며 분리하기 위해 계면활성제와 과산화수소, 폼아미딘,규산나트륨 등이 사용되고 이들이 포함된 폐수가 발생합니다.

        제지-펄프 폐수의 대분류와 특징

        제지-펄프의 발생폐수 종류와 주성분은 현탁물, BOD의 유기물, 흑액.
        흑액을 소각연료화 시키고, 백액화 시키는 것이 중요.

        성격에 따른 대분류

        1. 흑액(Black Liquor):
          • 정의: 펄프 과정에서 사용된 화학물질과 리그닌, 기타 유기물의 혼합물인 흑액은 공정 내에서 수집된 폐수입니다. 일반적으로 높은 BOD(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및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를 가지고 있습니다.
          • 특징: 흑액은 환경에 유해할 수 있으며, 적절한 처리 없이 방류할 경우 오염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흑액은 대개 열 에너지를 회수하는 방법으로 재활용되기도 합니다.
        2. 가수(Gray Water):
          • 정의: 펄프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물에서 유기물, 잔여 화학물 등이 포함된 가수는 일반적으로 저급 수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 특징: 이 물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만, 여전히 처리가 필요합니다. 펄프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가수가 공정 외부로 방류되면, 수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슬러지(Sludge):
          • 정의: 펄프 수처리 과정에서 침전물로 남는 슬러지는 기계펄프 공정에서 발생합니다. 여기에는 불용성 고형물과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특징: 슬러지는 폐기물로 처리해야 하며, 종종 바다나 땅에 버려지면 환경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를 처리하여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제지-펄프 폐수의 기타 성분

        종이 종류에 따른 추가 성분: 탄산칼슘, 전분, 잉크 잔사, 염료 등
        폐지 펄프의 경우 : 프린팅 된 잉크, 사무용 스템플러 등

        제지-펄프폐수 처리 공정에 쓰이는 일반적인 방식은 무엇인가요?

        응집침전 혹은 가압부상과 유기물 처리를 위한 생물처리를 조합하는 방식이 대중적으로 쓰이며 흑액은 BOD가 높아 소각 후 연료사용이나 나일론 원료 등 다양한 방면으로 자원재순환 되는 시도가 되고 있습니다.

        제지폐수, 펄프폐수에서 나올수 있는 물질은?

        리그닌함유 폐수, 염소함유폐수, 황화합물폐수,섬유찌꺼기 등 입니다. 흑액은 BOD처리가 안되어 소각/자원재순환으로 이용합니다.

        흑액이란 무엇인가요?

        펄프 과정에서 사용된 화학물질과 리그닌, 기타 유기물의 혼합물인 흑액은 공정 내에서 수집된 폐수입니다. 일반적으로 높은 BOD(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및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를 가지고 있습니다.
        흑액은 환경에 유해할 수 있으며, 적절한 처리 없이 방류할 경우 오염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흑액은 대개 열 에너지를 회수하는 방법으로 재활용되기도 합니다.

        셀룰로우스와 나노셀룰로우스(Cellulose Nano Fiber)는 무엇인가요?

        펄프재료로 45~50%가량을 차지하는 셀룰로우스는 식물의 주성분입니다. 나무의 단단함을 유지해주는 리그닌과 분리되어 흑액을 처리하고 남는 물질로 끈적끈적한 풀과 같은 상태의 특성을 가지며 이것을 나노의 촘촘함으로 워터젯의 초고압으로 분리하거나 화학처리를 통해 얻는 물질을 나노셀룰로우스라고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 연구되고 있습니다.

        나노셀룰로우스의 실제 적용사례와 현재 연구분야는?

        나노셀룰로오스는 친환경 소재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실제 상품화된 활용분야와 최근 연구분야를 살펴보겠습니다.상품화된 활용분야

        포장재
        나노셀룰로오스는 식품 포장용 투명 필름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필름은 물에 잘 젖지 않고 생분해가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환경 친화적입니다.

        전자기기 외장재
        바이오 폴리카보네이트 형태로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외장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영유아 용품
        독성이 낮은 특성을 활용하여 영유아 장난감과 젖병 소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최근 연구분야

        의료 분야
        나노셀룰로오스의 생체적 안정성을 활용하여 임플란트와 인공뼈 소재로의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화장품 산업
        국내에서 나노셀룰로오스를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전자 산업 / 리튬-이온전지
        플렉시블 전극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필터 기술
        나노셀룰로오스를 이용한 고성능 필터 개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
        나노셀룰로오스 복합 수지를 이용한 자동차 구조재 개발이 주목받고 있으며, 자동차 경량화를 목표로 한 프로젝트들이 진행 중입니다.

        바이오 복합재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의 높은 종횡비와 강도를 활용하여 바이오 복합재 분야에서 강도 향상을 위한 충전제로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나노셀룰로오스의 산업화를 위해 품질관리, 생산성 향상, 산업 표준화, 인증 절차 개발 등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연구와 개발을 통해 나노셀룰로오스는 앞으로 더 많은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08-21

        펄프폐수 처리 정보와 나노 셀룰로우스

        2025-08-10
      2. 유제품 폐수처리-식품회사,디저트 등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4-07-25

        유제품 폐수처리, 유제품 가공업은 식생활 패턴의 변화를 알려주는 산업

        안녕하세요, 에이알케이 전소희 매니저입니다. 대한민국의 식생활 소비패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대한민국 국민들의 식생활 소비패턴은 과거 흰 쌀밥과 국, 반찬등의 한식 가정식이 떠오르시나요? 지금은 너무나도 많이 변한 식생활 소비패턴은 커피나 유제품 + 베이커리, 고품질 과일과 채소, 패스트 푸드 등이 그 자리를 많이 대체 했습니다. 쌀과 김치의 소비가 줄었으며, 이는 다양한 커피 프랜차이즈의 성행과 유제품 가공업의 성장세를 보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제품 가공산업의 성장세와 소비패턴 변화에 따른, 폐수처리 또한 기업에서 고민하고 개선하고 폐수처리 설비에 있어서 효율은 높이고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투자도 고려해봐야 합니다.

        유제품폐수-에이알케이
        서론

        유제품 산업은 변하는 대한민국 식습관 패턴과 폐수처리 중요성 제시

        대한민국 유제품 가공산업 브리핑, 식품산업 중 3위

        1. 산업 순위: 대한민국 유제품 가공 산업은 식품 및 음료 산업 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식품 가공 산업 내에서 약 3위 정도로 평가됩니다.
        2. 업체 수: 2020년 이후 유제품 가공 관련 업체 수는 약 500여 개로 추산되며, 소규모부터 대형 기업까지 다양한 규모의 업체들이 활동 중입니다.
        3. 성장세: 2020년 이후 코로나19 팬데믹과 외식 산업의 변화로 인해 유제품의 수요가 일시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현재는 안정세를 보여 연평균 성장률(CAGR)은 약 2.5% 정도입니다.
        4. 브랜드 수 증감: 유제품 브랜드 수는 근래에 들어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새로운 건강 트렌드와 소비자 맞춤형 제품을 내놓는 브랜드가 계속 출현하고 있습니다.
        5. 해외 수출액 및 진출 기업: 유제품의 해외 수출액은 2023년 기준 약 1억 달러로, 아시아 및 중동 지역 중심의 수출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주요 진출 기업으로는 서울우유, 남양유업 등이 있습니다.
        항목내용
        산업 순위식품 가공 산업 내 약 3위
        업체 수약 500여 개
        성장세연평균 2.5% 성장
        브랜드 수 증감소폭 증가
        해외 수출액약 1억 달러 (2023년 기준)
        진출 기업서울우유, 남양유업 등
        유제품폐수-국내 유제품 산업 현황

        구체적 유제품 종류와 증감추이

        유제품의 종류, 줄어드는 흰우유 늘어나는 발효유와 아이스크림 소비

        • 발효유: 최근 몇 년간 발효유 시장은 큰 성장을 보였습니다. 장 건강을 넘어 미용과 멘탈 케어까지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며, 드링킹 요거트, 액상 요구르트, 떠먹는 요거트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그릭 요거트와 같은 건강기능성 발효유가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흰 우유: 전통적으로 많은 소비가 이루어졌으나, 저출산과 유아동 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최근 몇 년간 시장 규모가 다소 축소되었습니다.
        • 아이스크림: 특히 여름철에 높은 소비량을 보이며,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유지방 비율과 유고형분 함량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고열량 저영양 식품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 요구르트: 요구르트는 일반적으로 우유를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만드는 제품입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유제품들이 국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고, 소비자들의 건강과 기능성을 고려한 제품들이 특히 주목받고 있는 추세입니다.

        유제품시장의 변화 2020년 이후,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고기능, 고영양분의 건강식 추구.

        유제품 폐수 - 연도별 우유 소비량
        • 2020년: 444만 8,459 톤
        • 2021년: 444만 8459 톤 (최고치)
        • 2022년: 441만 490 톤 (소폭 감소)
        • 2023년: 430만 8350 톤 (약 2% 감소)

        이 그래프는 고물가와 저출산, 그리고 외국산 멸균우유의 인기가 국내 우유 소비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줍니다. 추가적으로, 외국산 멸균우유 수입량은 2020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2020~2024년 우유 기반 유제품 소비량 변화를 살펴보면, 전통적인 흰 우유 시장은 감소하는 반면, 발효유 시장은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0년 이후로 저출산과 유·아동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흰 우유 시장은 위축되었습니다. 2023년 흰 우유 시장 규모는 1조 6591억원으로, 전년 대비 0.5% 감소했습니다. 이에 비해 발효유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3년 발효유 시장 규모는 2조 625억원으로, 전년 대비 2.7% 증가하였으며, 2026년까지 2조 2498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발효유 시장의 성장은 다양한 기능성 제품 출시와 건강 트렌드가 주요 요인입니다. 특히, 장 건강, 미용, 멘탈 케어까지 다양한 기능을 가진 발효유 제품들이 인기를 끌며, 관련 시장이 확장되었습니다.

        이처럼 국내 유업계는 전통적인 흰 우유 소비 감소를 극복하기 위해 발효유와 같은 차별화된 유제품 시장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발효유 폐수와 유제품폐수
        본론

        유제품 폐수 특성, 지방성분 위주로 BOD,COD,지방분 제거 필수, 물리적처리 + 생물학적 처리 2가지 모두 필요

        유제품 폐수 주요성분

        원료원유
        첨가처리제유화제: 우유의 지방과 물이 안정적으로 혼합되도록 도와주는 물질로, 일반적으로 레시틴이나 다양한 식품 첨가물이 사용됩니다. 이로 인해 우유의 질감이 개선됩니다.
        산성 첨가물: 우유 초산이나 구연산과 같은 산을 첨가하여 pH를 조절하고 발효를 촉진합니다. 이는 요구르트나 치즈 등의 제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효소: 카제인 및 유당 분해를 촉진하는 효소가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락타아제는 유당을 분해해 유당불내증 환자도 소비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방부제: 우유의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 소량으로 사용되는 방부제로는 소르빈산이나 벤조산 등이 있습니다.
        맛 첨가물: 초콜릿 우유나 딸기 우유와 같은 제품에서는 인공 또는 자연 유래의 맛 성분이 추가됩니다.
        오탁물질BOD,COD,N-핵산, 지방-단백질-영양염류
        <테이블1 : 유제품 폐수 주요성분>
        유제품폐수의 특성
        유제품폐수처리 폐수발생 단계
        유제품 폐수 처리 설비와 프로세스

        지방분 제거를 위한 유수분리조와 유기물 제거

        유제품폐수처리 공정
        1. 진동식스크린: 유제품 폐수에서 발생 할수 있는 이물질과 고형물, 협착물을 제거(빨대,쓰레기 등)
        2. 유량조절조: 생물처리를 위해 설치하며 유제품 제조공장의 특성상 폐수가 단시간에 많이 발생하는 특성을 감안해 평준화를 위해 필요
        3. 유수분리조: 지방 유지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
        4. 물리적 처리(침전조): 고형물을 가라앉히고 분리하며, 이 단계에서 슬러지가 형성
        5. 화학적 처리: 폐수 내 유기물질 농도를 낮추기 위해 산화제나 응집제를 사용
        6. 혐기조-폭기조: 생물학적 처리(활성슬러지법)으로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 BOD를 절반유지 후 활성슬러지법처리의 호기처리 실시하며 2단으로 구성해 단락 방지
        7. 후처리 (여과 및 소독): 완전히 분해되지 않은 유기물과 병원균을 제거, 염소살균 실시
        8. 저류조: 침전슬러지,부상유를 저류시켜 탈수전 저장
        법령정보

        대한민국의 유제품 폐수관련 법령

        1. 물환경보전법: 이 법은 수질 오염을 방지하고 수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기반을 제공합니다. 유제품 제조업체는 이 법에 따라 폐수 배출 허가를 받아야 하며, 이는 폐수의 유량 및 오염물질 농도에 대한 기준을 포함합니다. 특히,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및 SS(부유물질)와 같은 주요 오염물질의 배출 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위반 시에는 과태료나 행정 처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식품위생법 및 식품위생법 시행령: 유제품 생산에 있어 위생 관리가 필수적이며, 이 법은 식품의 안전과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식품위생법 시행령은 식품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관리를 포함하고 있어, 폐수 처리 시스템이 적절하게 운영되도록 요구합니다. 이 법령에 따라, 제조 시설은 HACCP(위험 분석 및 중요 관리점) 시스템을 도입해야 하며, 이는 폐수 관리에도 적용됩니다.
        3. 축산물위생관리법: 이 법은 축산물과 관련된 식품의 위생 및 안전 관리를 목적으로 하며, 유제품 생산에 필요한 기준을 설정합니다. 이 법에 따라, 공장 내에서 발생하는 폐수와 고형물의 처리는 위생규정을 충족해야 하며, 폐수의 배출이나 처리를 통해 환경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4. 폐기물관리법: 이 법은 폐기물의 발생을 줄이고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한 규정을 포함합니다. 유제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고형 폐기물과 폐수는 이 법의 적용을 받으며, 처리가 필요한 경우 적절한 방법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이 법으로 인해 유제품 제조업체는 폐수와 고형물을 효율적으로 분리 및 처리하도록 요구받습니다.
        5. 온실가스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유제품 공장에서의 폐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온실가스 배출을 관리하기 위한 법입니다. 이 법에 따른 규제는 환경보호와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고려됩니다. 공장은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위해 폐수 처리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 적용이 필요합니다.

        ★ 스크류프레스 : 제품보기

        2024-07-25

        유제품 폐수처리-식품회사,디저트 등

        2025-08-10
      3. 석유폐수 정유폐수 처리 정보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4-03-25

        석유폐수 정유폐수 처리 인사이트

        석유폐수 석유화학폐수 유수분리기
        석유폐수처리 정유폐수 처리

        안녕하세요, 에이알케이 홍보실 전소희 입니다. 이번 시간엔 석유정유에 대한 폐수처리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석유산업은 아직은 친환경에너지, 재생에너지의 사용률이 높지 않은 관계로 완전 대체되지 않은 에너지 공급산업입니다.

        하지만, 미국에선 셰일시추법이 개발되며 셰일오일이 급부상해 산유생산국 1위를 기록하고 역대 최고의 생산량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23년 원유 생산량(백만 배럴/일)
        U.S.12.9
        Russia10.1
        Saudi Arabia9.7
        Canada4.6
        Iraq4.3
        China4.2
        Iran3.6
        Brazil3.4
        UAE3.4
        Kuwait2.7
        Other22.8

        원유의 분별 증류를 통한 제품은 휘발유, 항공유, 경유, 등유로 운송 연료의 대부분에 사용됩니다. 기타 플라스틱, 제약, 비료, 살충제, 용제의 많은 화학 제품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셰일 유는 주로 난방유, 선박용 연료, 철도 용 목재 방부제 등의 화학 약품으로 사용되며 원유와 달리 화학 제품의 원료로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습니다.

        반면, 셰일 오일의 고비 점 화합물은 등유, 디젤, 제트 연료 등과 같은 중간 유분을 생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열 분해에는 저비점 가솔린을 생산해야합니다.

        이처럼 원유/셰일오일 등 ‘기름’으로 우리는 산업계 각 분야와 생활용품의 다양한 곳에 에너지와 제품으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아직도 여전히 건재한 오일산업은 폐수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와 처리가 필요한 분야입니다.

        석유와 신재생에너지, 그리고 석유는 아직도 필요하다

        석유폐수 API 유수분리

        석유고갈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실제로 중동에선 석유를 대체할 다양한 자원에 대한 투자로 수소산업과 풍력산업, 원자력산업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 실정입니다.

        이는 곧 에너지산업이 친환경 쪽으로 바뀌며 탄소저감 산업을 목표로 세계 각국이 RE100같은 공통 규약을 목표로 환경에너지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을 목표로 함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석유는 고갈론에 반대하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합니다. 예전부터 과학자들이나 지질자원학자들은 석유가 고갈될꺼라 예상했지만, 의외로 새로운 석유원 발굴과 시추를 해도 줄지 않고 계속 나오는 현상 때문에 예상과는 다른 석유의 매장량과 발견량이 늘어나는 상황에 석유고갈론에 대한 반대의견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중요한것은 탄소저감이라는 목표와 가설이 있기에 대체에너지 생산에 주력을 가하는 것은 중요하고, 마찬가지로 폐수처리에 있어서도 물재활용과 폐수처리시 소비되는 에너지를 줄여 탄소저감에 신경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국내에선 석유,정유에 투자하지 않는 대기업이 없을 정도로 석유산업은 고도의 플랜트 기술만 있다면 수요와 공급면에서 반드시 수요가 생기는 분야기에 우리는 환경기술적인 면에서 석유폐수와 정유폐수에 대한 고도처리 방식과 부산물의 활용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석유정제의 폐수 종류

        석유화학폐수 처리 정보

        석유정제업은 원유를 수입후 수입 된 원유를 정제 해 각 추출물과 부산물로 산업군별 제품으로 가공 된 후 유통되어 사용되게 됩니다.

        석유 정제플랜트에서 정제되는 과정에서 폐수는 주로 정제시 폐수이며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1. 석유 정제 공정시 발생 폐수
        2. 탱크폐수 – 원유저장탱크, 벨러스트
        3. 증기발생기
        4. 냉각폐수
        5. 기타 – 공장생활폐수(사무실,식당 등)

        성격상의 분류는 1,2,3,5번의 공정폐수(프로세스폐수)와 4번 냉각폐수입니다.

        석유폐수는 주로 유분이 많은 ‘기름폐수’에 해당하며 석유플랜트만의 시설인 원유 증류시설과 탈염탈황, 세정·세척시설 등에서 발생합니다.

        기름폐수는 물에 뜨는 성질 때문에 분리는 쉬운 편이나 그 외의 물질은 가압부상/생물처리/모래여과/활성탄 흡착이 사용됩니다.

        원유증류시설과 석유폐수
        <그림1> 석유플랜트의 발생 폐수물질

        도표처럼 총 4가지의 처리공정에서 약13종 이상의 물질과 기름유분이 발생합니다.

        석유정제의 폐수 처리공정

        API유수분리기와 석유폐수 처리
        <그림2> 유수분리기(API : American Petroleum Institute)를 이용한 API오일세퍼레이터 공정

        1차 유수분리 처리 : API, CPI, PPI 등의 유수분리기

        앞서말한 바와 같이 정제공정폐수와 냉각폐수가 발생하는 석유정제 폐수는 API, CPI, PPI의 방식으로 유수(기름과 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유수분리기는 유분, 팜유가 발생되는 석유정제 시설, 폐차, 군수송차량 정비소, 수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케미칼공장, 도장설비, 역사 및 공항 등에 사용됩니다. 1차 처리의 유수분리기에도 탈수를 통한 슬러지 처리가 필요하며 2차처리를 가지는 다소 복잡한 구조를 지니게 됩니다.

        유수는 물위에 뜨는 기름의 특성상 어렵지 않으나 위에 말한 약 13종의 물질 때문에 다음과 같은 추가 처리방식이 필요합니다.

        2차 처리

        ▶ 가압부상
        ▶ 활성슬러지
        ▶ 모래여과
        ▶ 활성탄 흡착

        석유정제폐수 처리 설명

        <그림2>와 같이 API오일세퍼레이터는 150μm(미크론)까지 유분의 기름방울을 제거가능합니다. 폐수에 유화, N헥산, 현탁물 등 <그림1>에 포함된 다른 물질이 있을 땐 다시 가압부상처리(횡류식)를 하게 됩니다.

        1. 가압부상 처리는 pH7.5~8.5정도를 목표로 조정되며 알루미늄계 응집제를 사용해 조정.
        2. 수산화알루미늄 플록 표면에 유분, 현탁물질을 흡착시킵니다.
        3. 플록을 부상분리 : 고분자 응집제 첨가

        위와 같은 API공정 + 횡류식 가압부상 처리는 수량이 많은 처리 시설에 사용되며 가압부상조 > 모래 여과탑 > 활성탄탑을 거쳐 처리수는 더 깨끗하게 나옵니다.

        CPI의 경우 높은 효율과 소형화로 수량이 적은 설비에 적합하며 60μm(미크론)까지의 유분 제거가 가능합니다. 때문에, 석유정제 플랜트, 발전소 등 수량이 많은 곳엔 API 기타 유분이나 수량이 적은 곳에서는 CPI를 선택 적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석유폐수의 주요성분은 무엇인가요?

        공정폐수로는 유분과 암모니아,페놀,황화수소,탄화수소,N헥산,염산,수산화나트륨,인산염,현탁물질 / 공장생활폐수로는 BOD,COD,계면활성제,대장균이 있습니다.

        유수분리기의 역할과 종류는 어떻게 되나요?

        유수분리기는 API(American Petroleum Institute)의 오일세퍼레이터는 150μm(미크론)까지 제거하는 수량이 많은 시설용과 CPI(Coagulated Plate Intercepter) 오일세퍼레이터는 60μm의 수량이 적은곳에 사용됩니다.

        석유폐수의 API 공정 플로우를 알려주세요

        상기 이미지처럼 1차 처리의 유수분리 단계와 2단계의 가압부상조를 통한 13종 이상의 폐수처리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석유폐수 특화 엔지니어링사

        업체명주요분야웹사이트
        필즈엔지니어링 / 카리석유화학,정유 플랜트 EPC, 이차전지 염폐수 전용설비보기
        금강엔지니어링환경엔지니어링보기
        한성크린텍석유화학산업 폐수처리보기
        한독이엔지고온 호기성 세균 이용 석유화학폐수 고부하 처리시스템보기
        비케이이엔지용암 폐수처리수 재이용시설보기

        ★ 에이알케이 석유폐수 적용 원심탈수기 : 보기

        석유폐수 탈수기
        2024-03-25

        석유폐수 정유폐수 처리 정보

        2025-08-10
      4. 반도체폐수, 전기전자 폐수 처리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4-03-09

        반도체폐수 이야기, 초순수 이용과 폐수

        반도체폐수 탈수기

        안녕하세요, 에이알케이 홍보실 황민희 입니다.

        반도체폐수

        오늘은 대한민국 산업의 핵심산업인 전기전자 업종의 폐수처리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주로 반도체 공정과 관련된 전기전자는 초순수(UPW : Ultra Pure Water)를 사용하며 전자부품 중에서도 반도체, 디스플레이, Nano연구분야 등에 세척등에 쓰입니다.

        초순수는 말그대로 가장 순수한 물을 뜻하며 비저항값 level(18.25㏁.cm)에 가장 가깝습니다. 미세한 이물질 조차도 반도체 전류 흐름을 방해하는데 초순수는 이런 이물질이 없습니다.

        초순수는 과거 일본의 독점기술이였으나 현재 대한민국도 초순수 기술을 가지게 되었으며 초순수 공정은 자외선 산화, 이온 교환 등 24단계 과정을 거쳐야 제조가능합니다.

        반도체는 아주 깨끗한 환경에서 제작되는 이유는 미세한 이물질로 인한 전류흐름 방해시 성능 보장이 되지 않기에 전자제품이 쓰이는 아주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곳에서는 막대한 손실을 일으킬 수 있기에 초순수가 필요한 것입니다.

        반도체 웨이퍼를 만들 때 실리콘 웨이퍼를 씻는 공정상 사용되는 초순수. 그리고 다른 전기전자 폐수에 관련된 사항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반도체 공정과 세정

        모래에서 규소로 추출된 실리콘을 실리콘결정 성장 기술로 실리콘을 고온으로 녹인 후 용액으로 만들고 단결정으로 식혀 Ingot(잉곳)으로 만듭니다.

        반도체폐수 중 현탁수
        반도체 웨이퍼 폐수

        이 잉곳을 톱으로 잘라 반도체 웨이퍼를 생산하게 되는데 발생하는 1차 폐수가 생성됩니다.

        전기전자 생산 공정과 폐수발생도

        반도체폐수 발생도

        전기전자 제품의 생산공정은 제품마다 상이하지만, 공통적으로 ‘초순수’ 같은 물로 ‘세정’작업을 거치며 이때 폐수가 발생하는데 있습니다.

        전기전자 폐수의 농도별 포함물질

        구분pH내용
        저농도 폐수산성 3~5불소이온, 질산이온, 인산이온, 실리카, 유기물(BOD,COD), 암모늄이온, 과산화수소
        고농도폐수황산, 염산, 질산, 과산화수소, 불소, 산성불화암모늄, 실리콘분말

        전기전자 폐수의 1차 폐수인 현탁수란?

        1차 가공시의 현탁수 : 상기 공정에서 1차 잉곳을 절단해 웨이퍼 가공시 실리카가 포함된 물을 뜻하며 탁도가 높지만 용해성 화학물질이 적기에 막 여과 기술을 사용해 정화 후 상당부분은 재사용 처리를 합니다.

        무기계 전기전자 폐수 처리 공정도

        반도체폐수 처리 공정도

        반도체 공정에서 대량으로 사용되는 물질은 불산입니다. 때문에 폐수에는 불산과 과산화수소가 포함되어 있기에 이를 분해하기위해 효소인 카타라아제를 사용해 분해하며, 이후 염화칼슘과 수산화칼슘을 이용해 중화/응집 처리를 합니다.

        응집침전 부산물은 불화칼슘 슬러지로 시멘트 제조회사에 납품되기도 하며, 처리수는 모래여과와 활성탄 처리를 하고 재사용되기도 합니다.

        상기 설비공정은 무기계 공정이며, 유기계의 경우 유량조정조-폭기조-모래여과탑-활성탄 탑 등의 추가 설비가 들어가며 응집처리수를 생물처리 활성 슬러지로 분해하기도 합니다.

        국내 순수/초순수 설비 기업리스트

        구분업체명전화번호홈페이지
        순수설비쿠리타한수(주)031-789-1700보기
        순수/초순수웰크론한텍031-350-8900보기
        초순수 설비대한환경053-763-1911보기
        초순수 설비진영이엔티031-457-6565보기
        초순수 설비(주)코리아워터트롤02-943-9623보기
        초순수 설비해동테크놀로지031. 386. 3901보기
        초순수 설비아크로워터테크070-5129-6501보기
        초순수 설비테크윈043-261-8114보기
        반도체폐수용 탈수기
        반도체폐수 베트남 회사
        2024-03-09

        반도체폐수, 전기전자 폐수 처리

        2025-08-10
      5. 전기도금 폐수 처리 정보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4-02-24

        전기도금 폐수는 어떻게 처리되나?

        전기도금 폐수는 다양한 산업에 사용되는 금속의 표면에 전기도금을 처리해 가공하는 방식으로 산업군별로 요하는 특수기능을 가진 금속가공물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전기도금의 정의

        제강산업은 일관제철, 특수강, 냉연·도금강판, 스테인리스, 강관, 열간압연, 선재가공, 합금철 등 다양한 생산업종으로 분류되며 여기에 전기도금기술은 2차 가공을 위한 기술입니다.

        전기도금은 크롬, 니켈, 동, 금 등 부합 용도의 기능을 충족할 수 있는 물질을 입히는 ‘피막형성’에 목적을 둡니다.

        전기도금의 기능

        전기도금으로 부터 얻을 수 있는 기능은 녹방지, 강도, 내마모성, 전기도전성 등 다양한 기능을 만들 수 있으며 반도체 분야에서도 상수, 순수, 초순수가 사용됩니다.

        전기도금 폐수의 주요 물질

        앞선 금속표면처리업과 마찬가지로 폐수가 발생하며 표면피막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크롬, 니켈 등의 물질에 의해 산-알칼리 / 시안 / 크롬 등의 중금속 함유 폐수가 주요 물질입니다.

        전기도금폐수의 주요 공정은 탈지세정과 수세정을 통한 과정입니다. 이 두 과정을 통해 가공품이 완성되며, 세정처리제의 투입시 세정제에 따른 산·알칼리폐수 및 중금속 폐수가 발생합니다.


        전기도금 폐수 처리방법

        2단 처리법 : 알칼리 염소법으로 시안폐수의 2단 처리(PH조정 > 불용화)

        2NaCNO + 5NaOCL + H₂O -> 2CO₂ + N₂ + 2NaOH + 5NaCl

        환원중화 처리법 : 6가 크롬폐수의 처리 / 아황산수소나트륨 사용으로 수산화크롬(Cr(OH)₃) 불용화

        4H₂CrO₄ + 6NaHSO₃ + 3H₂SO₄ -> 2Cr₂(SO₄)₃ + 3Na₂SO₄ + 10H₂O

        시안계 전기도금 폐수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집니다. 상기 처리 공정도는 알칼리 염소법으로써 산화 제2조에 산을 더해 7~8로 맞춥니다. 환원조의 역할은 철과 니켈이 있을 경우 이들은 알칼리 분해로는 분해불가능하기에 염소를 환원제거 제거해 니켈과 철시안 처리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2024-02-24

        전기도금 폐수 처리 정보

        2025-08-10
      6. 금속폐수 – 표면처리업 업종별 폐수처리 시리즈

        원심탈수기 스크류프레스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정량펌프 전문 에이알케이
        2024-02-06

        금속폐수, 산단의 금속 표면처리업과 광산, 도금업체에서 생산

        안녕하세요, 에이알케이 홍보실 황민희 입니다. 최근 인천 산업단지에서 금속폐수 무단방류로 뉴스에서 논란이 일어났습니다.

        또한, 저희 에이알케이가 위치한 화성시 양감면에서도 공장화재로 인한 폐수방류로 7.4km의 화성-평택 하천 일대가 오염되는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이처럼 폐수는 적정처리 설비를 통한 방류에도 신경써야 하지만, 공장의 안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폐수가 발생될 수 있는 원인은 단순히 설비와 공정의 관리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그럼 금속폐수에 대해 알아볼까요?

        금속폐수가 발생하는 업종

        금속폐수는 크게 다음의 분류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폐수의 주요성분은 업종마다 다를 수 있으며, 중금속외에 난분해성 물질이 포함될 수 도 있습니다.

        따라서, 실무자는 금속폐수의 주된 성분을 잘 파악해 폐수의 종류 선별을 잘 해야 적정처리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금속폐수의 종류를 아는 것이 가장 중요

        폐수의 종류는 크게 아래처럼 산·알칼리 / 시안계 / 크롬계로 나뉩니다. 원수분석 후 어떤 종류에 속하는지를 파악해야 적정 처리가 가능합니다. 폐수의 종류에 따른 적정처리되고 나머지 처리가 불가한 고농도 폐수액은 산업폐기물로 처리됩니다. 표면처리업은 원재료인 철강-알루미늄을 처리해 원재료가 가지지 못한 다양한 장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내식-내열성 입니다.

        표면처리 기술은 표면연마,에칭,피막처리,증착,용융피복,코팅,라이닝등이 있으며 탈지와 세정공정에 투입되는 다양한 화학물질로 인해 아래와 같은 폐수종류를 갖게 됩니다.

        금속표면처리업의 공정과 포함물질

        금속의 표면처리는 우수한 완성도를 위해 표면을 처리하는 과정을 거치며, 매끄러운 표면을 얻기 위해 1차공정인 탈지세정과 2차 공정인 산세정을 거칩니다.

        이 2가지 단계에서 사용되는 물질은 아래와 같습니다. 원재료인 철강과 알루미늄으로 다양한 처리제를 거쳐 각종 산업계에 사용되며 기계-건축-자동차-전기전자-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로 가공된 금속이 유통되게 됩니다.

        금속표면처리업체의 금속폐수 원수 분석시 중요포인트

        앞서 말씀드린대로, 같은 금속폐수라도 ‘폐수계’에 따라 처리공정이 달라진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원수 분석후 나타나는 성분이 중요하며 금속폐수는 대부분 50% 가량이 산·알칼리계 폐수가 차지합니다.

        이중에 산알칼리계의 질산이 포함된 폐수인지와 시안계-크롬계 폐수인지를 파악해 적정처리를 선택해야 성공적인 폐수처리가 가능합니다.

        주요처리 방법은 pH조절과 응집처리

        상기 처리공정도는 환경설비 시공사의 설계에 의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분말활성탄 주입설비의 경우 용해성 COD성분 및 TOC 물질제거를 목적으로 하며 경사판침전조는 우수한 침전효율로 SS물질 제거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금속폐수는 표면처리업과 전기 도금처리업, 아연생산 광산 등 다양한 곳에서 발생 할 수 있으며 탈지세정과 산세정에 의한 표면청정화, 용융피복으로 인한 다양한 중금속 성분의 폐수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하시고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에이알케이 원심탈수기 : 보기

        2024-02-06

        금속폐수 – 표면처리업 업종별 폐수처리 시리즈

        2025-08-10